문화환경위원회, 경북환경연수원 행정사무감사
본연의 목적인 ‘환경교육’에 집중 요구
생각이 실천으로 바뀌는 환경교육 추진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도의회 문화환경위원회는 7일 경북환경연수원 행정사무감사에서 “환경연수원이 본래 목적과 벗어난 사업이 많다”고 지적했다.
이날 위원들은 환경연수원으로부터 2023년 주요 업무 추진상황과 2024년 주요 업무계획을 보고 받고 환경교육 추진현황 등 연수원 운영 전반에 대한 지적을 통해 강도 높은 감사를 진행했다.
김용현 의원(구미)은 “경북환경연수원이 환경이나 ESG경영에 대한 교육을 통해 경상북도 하면 환경 청정지역이라는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역할도 해야한다”고 주문했다.
박규탁 의원(비례)은 결산서와 관련해 “회계의 기준과 일관성이 없다”고 질타하며 “특정인에 강사료가 많이 지급되었음을 언급하며 관련 규정에 따라 골고루 강사를 초빙해 줄 것”을 요구했다.
정경민 의원(비례)은 “연수원이 잉여금을 고려하지 않고 출연금을 증액하여 신청한 것과 행정사무감사자료 작성의 부실함”을 지적했다.
김경숙 의원(비례)은 “환경교육의 성과가 부족한 것은 모집시기나 사업대상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정 개설로 이를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규식 의원(포항)은 “연수원 사업 중 본연의 목적에서 벗어나는 문화사업 등은 배제하고, 기후위기나 탄소중립 등 중요한 내용에 집중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이동업 의원(포항)은 “경상북도환경연수원 주요 직위에 장기적인 결원이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내부직원 발탁 등을 통한 정원 보충으로 직원들의 사기 직작은 물론, 기존 조직의 활용에도 힘써야 한다”고 역설했다.
도기욱 의원(예천)은 “환경교육 수탁사업이 22개 시군에 널리 이뤄지고 있지 않다”며 “환경교육을 도민들에게 널리 알리고 시군의 참여율을 개선해 도민들이 함께 누릴 수 있는 환경연수원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대일 위원장(안동)은 “이제까지의 환경교육이 듣고 이해하는 것이었다면 앞으로는 생각이 실천으로 바뀌는 환경교육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기자수첩] 경북 전체보다 ‘지역구’만 챙기는 경북도의원의 민낯
- 경북도의회, 포항 ‘소나무재선충병 집단피해지’ 긴급점검
- 김대일 도의원, ‘경상북도 맨발 걷기 활성화 지원에 관한 조례안’ 대표 발의
- 경북도의회, 10일부터 ‘제342회 임시회’ 개회
- 경북도의회 예결특위, 2024년 예산편성 대비… ‘현장’ 확인
- 이칠구 경북도의회 운영위원장 “의회 전문성 향상 위한 방안 마련”
- 권광택 경북도의원, ‘경북공립 대안학교 설립 중단’ 대책 요구
- 경북도, 지역 기업과 중앙아프리카共 ‘새마을사업’ 공동 추진
- 경북도의회 교육위, 경북교육청 ‘행정사무감사’ 실시
- 정경민 경북도의원, 경북산림자원개발원 ‘업무 개선’ 강력 요구
- 경북도의회 건설소방위,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소방행정’ 주문
- 정한석 경북도의원, 경북교육청 ‘위기 학생’ 지원… ‘노력 부족’
- 경북도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 마무리···다양한 ‘정책 대안’ 제시
- 최덕규 경북도의원, ‘논(畓) 타작물 재배 지원 조례안’ 대표발의
- 이칠구 경북도의원, ‘마약류 폐해’ 방지 위한 예산 증액요구
- 경북산림환경연구원, 특허기술 ‘숙취 해소 산돌배’···‘숙취’ 삭제 위기
- 경북도,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금 575억 투입
- 정경민 경북도의원, 산림박람회 경주 유치…‘적극 노력’ 성과
- 경북환경연수원, 숲해설가 양성과정으로 ‘민간단체’와 충돌
- 경북도, 도유지 불법 전대에 ‘강건너 불구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