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해남~신장성 등 123km 송전망 포함…전력망 구축 4년 단축
“재생에너지 고속도로, 이재명 정부 강한 의지 반영”

제1차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위원회에 참석한 김영록 지사. 사진/전남도청
제1차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위원회에 참석한 김영록 지사. 사진/전남도청

[전남취재본부 / 최영남 기자]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2일, 전남지역 핵심 전력망이 국가기간 전력망으로 대거 지정된 것에 대해 “전남의 에너지 대동맥이 열린 것”이라며 “도민과 함께 크게 환영한다”고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1일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차 전력망 확충위원회’에서 전남의 신해남~신장성(96km), 신해남~신강진(27km) 구간을 포함한 총 123km 송전선로와 서해안 HVDC(고압직류송전) 등 345kV 이상 핵심 송변전 설비가 국가기간 전력망으로 지정됐다.

김 지사는 이번 결정을 두고 “전력망 특별법 시행 5일 만에, 그리고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과 동시에 이뤄진 것으로, 재생에너지 대동맥인 에너지 고속도로에 대한 이재명 정부의 강력한 추진 의지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이번 지정으로 전력망 구축에 필요한 35개 정부 인허가 절차가 대폭 간소화되고, 일부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가 면제된다. 환경영향평가 간소화, SOC(사회기반시설) 공동 건설 추진 등도 포함되며, 통상 13년 소요되던 전력망 구축 기간이 9년으로 단축될 전망이다.

김 지사는 “그동안 출력제어로 제한됐던 태양광·풍력 확대가 가능해졌고, RE100 산업단지와 AI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한 기반도 마련됐다”며 “국내 기업은 물론 글로벌 첨단기업까지 유치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우리 지역에서 생산한 재생에너지를 도민과 기업이 직접 사용하는 에너지 자립 체계가 구축되면 전기료 부담도 줄어들 것”이라며, “전남이 주도하는 에너지 기본소득 연간 1조 원 시대를 반드시 열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 지사는 이번 회의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 투자 확대 ▲허수사업자 상시 점검 ▲기설 송전선로 용량 증대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에너지 자립마을 확대 ▲RE100 산업단지 전기요금 대폭 할인 등 후속 정책도 정부에 건의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