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자체·국제 협업 필요… 전국 최초 정책으로 대응 중”
[전남취재본부 / 최영남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외 협력 강화를 주문한 가운데, 명현관 해남군수가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남이 선도적으로 해결하겠다”고 밝히며 주목받고 있다.
명 군수는 지난 15일 열린 해남군청 직원 정례회의에서 “정부도 해양쓰레기 감축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만큼, 해남군이 그동안 선제적으로 추진해 온 정책의 성과와 문제점을 정리해 정부 정책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하자”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해양쓰레기 문제는 정부 부처, 지자체, 국제적인 협업 없이는 해결이 어렵다”며 “농어촌수도를 표방하는 해남군이 지금까지 쌓은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해양환경 개선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해남군은 이미 다양한 해양쓰레기 감축 정책을 전국 최초로 시행하며 성과를 내고 있다.
대표적으로 2015년부터 이동식 폐스티로폼 감용기를 운영해 지금까지 약 160만 개, 216톤 규모의 부표를 수거·재활용했으며, 해당 정책은 2025 기후환경대상에서 종합대상을 수상했다.
또한 양식장 폐스티로폼 부표 제로화를 목표로 660만 개 중 60%인 400만 개를 친환경 부표로 교체, 2032년까지 100% 전환을 추진 중이다. 어민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국비·군비를 포함한 80% 지원도 병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해남군은 어구 보증금제를 통해 올해에만 2만 4,000여 개의 통발 어구를 회수하고, 어민들에게 1,600여만 원의 보상금을 지급하는 등 전국 최고 수준의 회수 실적을 기록 중이다.
명 군수는 “어민의 생존권과 해양환경 보호는 동떨어진 문제가 아니다”며 “해남이 앞장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관련기사
- 해남군, 대한민국 지식대상 행안부 장관상 수상
- 해남군, ‘성별 영향평가’ 우수기관 선정… 여가부 장관 표창
- 해남군, 22일부터 3가 독감 무료 예방접종 시작
- 해남군, 배추 정식 한창…올해 4,900㏊ 재배 전망
- 해남군,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 대폭 확대… 지속가능 농업 선도
- ‘무허가 의약품’ 녹용 절편 제조·판매·유통업자 41명 적발
- 질병청 “비브리오패혈증 발생 증가, 고위험군 주의 필요”
- 해남군, LPGA 정규투어 연계 ‘스포츠열차 인 해남’ 관광상품 운영
- 해남서 ‘하구복원 특별법’ 논의…민·관·정 정책토론회 개최
- 해남·진도서 명량대첩 축제 개막…ICT 공연으로 명량해전 재현
- 명량대첩, 첨단 기술로 부활…울돌목에 감동의 물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