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도의원 산업심장 외면은 “경제 사형선고”
포항시, 철강, 수소, 이차전지, 바이오 산업 집적

지난 3월 4일 박용선 경북도의원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른 특화단지 신청을 앞두고 경북도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박용선 경북도의원
지난 3월 4일 박용선 경북도의원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른 특화단지 신청을 앞두고 경북도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박용선 경북도의원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정부가 최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서 포항시를 제외하면서 지역사회의 강한 반발이 일고 있다. 박용선 의원은 이번 결정을 “명백한 역차별”이라고 규정하며 정부 정책을 강력히 비판했다.

11일 박 의원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제주, 전남, 부산 강서구, 경기 의왕 등 4곳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했다. 포항시는 청정 암모니아 발전과 수소 기반 에너지 전환,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등 산업형 분산에너지 모델을 제안했으나 보류 대상이 됐다.

박 의원은 “포항은 전국에서 가장 안정적인 전력 인프라를 갖춘 곳”이라며 “정부 결정이 실력 부족이 아니라 시각 부족”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전남은 반값 전기요금으로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고, 부산과 의왕은 ESS 실증사업으로 미래 전력시장을 선점하고 있다”고 말했다.

포항은 철강, 수소, 이차전지, 바이오 산업이 집적된 대한민국 산업의 중심지다. 박 의원은 “수소경제, 철강 고도화, 배터리 산업 등 포항의 미래 먹거리는 모두 전기요금 경쟁력에 달려 있다”며 이번 제외가 산업단지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에 심각한 불리함을 의미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작다는 이유로 포항을 제외했다면, 그것은 산업 현장의 논리를 모르는 탁상행정”이라고 비판했다. 포항은 이미 수소와 암모니아 기반 청정 발전 실증을 진행하고 있는 도시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정부가 말로는 ‘동해안 시대’를 외치면서도 실제 정책에서 동해안 경제권을 제외하고 있다”며 “포항 시민들은 수십 년간 국가 산업의 토대가 되기 위해 소음과 먼지, 환경 부담을 감내해 왔다”고 말했다.

그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은 미래산업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포항이 준비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중앙정부가 준비되지 않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포항을 다시 포함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재검토하라”며 “동해안 경제권과 산업 중심지 포항을 배제하는 것은 국가 균형발전 원칙을 스스로 부정하는 일”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지난 3월 4일 박용선 도의원이 경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른 특화단지 신청을 앞두고 경북도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