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 복구에 1조 8000억 원 확보
포항 영일만 산단, 분산특구 후보지 선정
도민 안전과 미래 산업 선도에 총력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가 대규모 산불 피해 복구와 미래 산업 육성을 위한 대대적인 정책 지원에 나섰다. 국비와 지방비를 합쳐 총 1조 8000억 원 규모의 복구 예산을 확보하며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이선희 기획경제위원장(청도)은 최근 도의회에서 “도민의 안전과 일상의 회복을 최우선으로 삼고, 재난을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정책 대응에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8일 경북도의회에 따르면 기획경제위원회는 2025년 상반기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에 대응해 현장 중심의 신속한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피해 지역 실태조사부터 복구 대책 수립, 국비 추경 예산 확보까지 전 과정에서 경북도와 긴밀히 협력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산불피해재창조본부 TF팀’이 조직되어 피해 복구 체계가 일원화됐다. 확보된 복구 예산은 국비 1조 1810억 원과 지방비 6500억 원을 합쳐 총 1조 8310억 원에 달한다.
이 예산은 주택 피해 전손에 1억 원 이상 지원, 농업 분야 지원 단가 및 지원율 상향·확대, 소상공인·중소기업 생계 안정 지원 등 피해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지원 방안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 위원장은 “경북도가 피해 복구 활동에 신속히 착수할 수 있도록 입법·예산 지원에 모든 역량을 쏟았다”고 설명했다.
기획경제위원회는 산불 피해 복구뿐 아니라 미래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기반 마련에도 주력했다. 박선하 위원이 발의한 ‘경상북도 분산에너지 활성화 지원 조례’는 지역 내 에너지의 자립적 생산과 소비가 가능한 분산형 구조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조례를 바탕으로 경북도는 산업통상자원부와의 협의를 통해 포항 영일만 산업단지를 분산특구 최종 후보지로 지정받는 성과를 거뒀다. 분산특구에서는 이차전지 중심의 영일만 산업단지 내 기업들에게 암모니아 기반 수소엔진 발전설비를 활용한 무탄소 전력 공급 실증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이 위원장은 “오는 6월 예정된 에너지위원회 심의에서 경북이 최종 선정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과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도민의 건강권 보장을 위한 제도 마련에도 성과가 있었다. 이형식 위원(예천)이 발의한 ‘경상북도 희귀질환 관리 및 지원에 관한 조례’는 약 1338종의 희귀질환 관련 1300여 명의 환자에게 연간 32억 원 규모의 재정 지원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제도적 근거를 마련했다.
“치료가 어렵고 경제적 부담이 큰 희귀질환자에 대해 도 차원의 책임 있는 대응 체계를 세웠다는 점에서 이번 조례의 제정이 큰 의미를 갖는다”고 이 위원장은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이선희 위원장은 “급변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 경북이 미래를 선도할 수 있도록 기획경제위원회가 중심에서 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의정 활동을 펼쳐나가겠다”며 “앞으로도 도민의 삶에 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일하는 의회, 신뢰받는 기획경제위원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관련기사
- 경북도의회, 인사권 독립 이후 ‘혁신적 의정활동’ 펼쳐
- 한국노총 경북본부, 노동자 출신 김문수 후보 공식 지지
- 경북도의회, 기후변화 대응 ‘안전 정책’ 강화
- [르포] ‘모두를 위한 의회’를 실현하는 경북도의회
- 경북도의회 교육위, ‘안전’ 중심 교육현장 개선 총력
- 경북도의회, ‘신중년 여성 정책 발전’ 토론회 개최
- 경북도의회, 오는 10일부터 ‘제356회 제1차 정례회’ 개회
- 경북도의회 예결특위, ‘영덕 이웃사촌마을’ 현장점검
- 경북도의회, 2025년도 ‘입법정책 연구과제’ 의결
- 포항 제외한 분산 에너지 정책…박용선 경북도의원 “명백한 역차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