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전력 생산지만 혜택은 수도권이 독점
분산에너지법으로 지역 전기요금 차등화 가능해져
경북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위해 1인 시위 예고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도의회 박용선 도의원이 4일 브리핑을 통해 경북은 국내 최대 전력 생산지만 혜택은 수도권이 독점하고 있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른 특화단지 신청을 앞두고 경북도가 치밀한 전략과 추진계획으로 적극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의원은 “경북은 대한민국 전력의 중심지임에도 불구하고, 생산한 전력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과 다른 지역으로 송전되고 있다”며 “이는 불공정한 구조”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 2023년 기준 경북의 전력 생산량이 94.6TWh로 전국 최대인 반면, 소비량은 43.8TWh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포항의 철강산업을 비롯한 경북의 핵심 산업들이 중국의 저가 공세에 맞서야 하는 현실 속에서, 수도권과 같은 전력 혜택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박 의원은 “경북이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으로 지정돼야 한다”며 “산업통상자원부가 3월 중 실시하는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 공모는 경북도가 반드시 잡아야 할 기회”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특화 지역 지정 시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 지역 생산 전력의 직접 사용, AI 국가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공장 같은 첨단산업 유치 기반 마련 등을 꼽았다.
특히 전력 요금 차등 적용을 강력히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력 소비가 많은 수도권은 더 높은 요금을 내고, 생산 지역인 지방은 더 저렴한 전기요금을 적용받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박용선 경북도의원은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통해 수도권 집중을 분산하고, 지역을 살려야 대한민국이 살아난다”며 “이것이 경북이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경북이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되고, 산업용 전기요금을 광역지자체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산업통상자원부 앞에서 1인 시위를 강행할 것”을 예고했다.
관련기사
- 경북도의회, ‘농수산물 가격안정 대응’에 앞장
- 경북도의회, ‘지방의회 청사 면적 기준 개정’ 촉구
- 경북 포항서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열려
- 경북도의회, 대왕고래 프로젝트와 벼 재배면적 조정 논의
- 박용선 경북도의원, 시도의회의장협 ‘우수의정대상’ 영예
-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 ‘선제적 입법’…집행부 견인
- 경북도의회 의원들, 지방 넘어 ‘중앙 무대 활약’ 주목
- 경북도의회, ‘동해안 관광 활성화’ 전략 모색
- 경북도의회,임시회 개회…‘민생 조례안’ 처리
- 경북도의회 상임위, ‘도민복지 조례안’ 심의·의결
- 대통령실 앞 1인 시위, 박용선 경북도의원 “산업용 전기료 인하” 촉구
- 포항 제외한 분산 에너지 정책…박용선 경북도의원 “명백한 역차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