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농축산·주택 등 다각도 지원책 마련
경북형 모듈러주택, 이재민 주거 안정화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왼쪽)가 모듈러 주택을 점검하고 있다.ⓒ경북도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왼쪽)가 모듈러 주택을 점검하고 있다.ⓒ경북도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정부가 최근 발표한 2025년도 추가경정예산안에 경북 산불 피해 복구와 지역 회복을 위한 예산이 반영되면서 경북도가 환영의 뜻을 밝혔다. 경북도는 국회 심의 과정에서 추가 지원이 확대되길 기대하고 있다.

20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3월 의성 등 5개 시군에서 발생한 대형산불로 인한 주택 전소, 농축산 피해, 산림 훼손, 기반시설 붕괴 등 다각도의 피해를 고려한 포괄적인 지원 계획이 이번 예산안에 담겨 그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경북도는 이번 추경안이 피해 지역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림청, 농림축산식품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의 예산에 산림 복구, 작물 및 축사 피해 복구, 이재민 임시거주시설 설치 등이 포함되어 경북 지역의 회복을 위한 중요한 토대가 마련됐다.

또한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경영 안정 자금과 일자리 회복 지원도 포함되어 실질적인 회복 기반을 조성할 전망이다. 경북도는 국회 심의 과정에서 주민들이 요구하는 시급한 지원 사업에 대한 국비 추가 확보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북도는 △임대 농기계 구입 지원 △송이 대체 작물 조성 △위험목 제거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소상공인 지원 등 다양한 사업에 대한 증액을 건의할 예정이다.

추경 예산 통과 후에는 중앙부처와 긴밀히 협력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예산 집행을 위해 절차를 간소화하고, 현장 투입을 위한 종합 대응체계를 가동할 방침이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이번 추경안은 단순한 복구를 넘어 피해 주민의 삶의 회복과 지역 공동체 재건을 실질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북도는 이재민의 신속한 주거 안정을 위한 조치도 이미 시작했다. 안동시 일직면에 경북형 모듈러주택 18동을 설치하고 첫 입주를 시작했으며, 지난 18일 입주식에는 관계자들이 참석해 이재민들을 격려하고 생활 여건을 살폈다.

경북형 모듈러주택은 기존 임시주택 개념을 혁신적으로 확장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안동을 시작으로 의성, 청송, 영양, 영덕 등에 총 211동을 공급할 계획이며, 이는 산불 피해 주민들의 주거 안정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