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유입·정착·공존 위한 MBTI 사업 추진
[부산ㆍ경남 취재본부 / 신용소 기자] 경남 김해시가 다문화도시로 진입하며 외국인과 내국인이 함께 살아가는 도시로의 변화를 본격화한다.
14일 시에 따르면, 지역 내 등록 외국인 수는 지난해 말 기준 2만4727명으로 전년보다 3443명이 증가했다.
여기에 외국국적동포 국내 거소 신고자 5403명이 추가되면서 김해시는 총인구 56만1806명으로, 외국인 비율이 전체 인구의 5%를 넘어섰다.
이는 다문화도시의 기준을 충족하는 수준으로 시는 올해를 기점으로 ‘내국인과 외국인 함께하는 행복도시 김해’라는 비전 아래 외국인 유입, 정착, 공존을 목표로 외국인정책 MBTI(Master: 배우고, Be at work: 일하고, Together In Gimhae: 김해에서 함께) 사업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해 대학과 기업이 함께 지역 정착 시스템을 체계화하며, 유학생 대상 공공기관 행정 인턴제를 시범 운영해 지역사회와의 연결고리를 강화한다.
또한, 유학 비자(D-2)와 특정 활동 비자(E-7)를 대상으로 경남도와 협력해 ‘경남형 광역비자’를 설계, 유학생과 전문 인력의 지역 정착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외국인 근로자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기숙사 리모델링 지원과 함께 거주·교육·상담 등 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외국인근로자 정착지원 복합센터’ 설립을 추진한다.
내국인과 외국인이 어울려 살아가는 사회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시는 외국인 주민 서포터즈를 운영해 시정 참여를 독려하고, 각국의 대표 공동체를 활성화해 교민회 설립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민 대상 외국인 인식 개선 교육과 성공적으로 정착한 외국인 사례 콘텐츠 제작으로 상호 이해와 공존문화를 확산시킨다.
정부의 출입국·이민관리청 설립 계획에 발맞춰, 시는 이민청 유치 공동추진단을 구성해 범시민 공감대를 확산하며 이민청 유치에도 적극 나선다.
또한, 분산된 외국인 지원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외국인주민지원센터’ 설립을 구상, 외국인 주민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사회 정착을 돕는다.
홍태용 김해시장은 “김해는 경남에서 외국인이 가장 많은 지역이자 전국에서도 아홉 번째로 큰 다문화도시”라며 “2025년 도시 대전환에 맞춰 우수한 인재가 유입되고 내·외국인이 함께 어우러져 살아가는 글로컬 도시로 나아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관련기사
- 김해시, 지난 한 해 일회용 플라스틱 50t 감축… 전국 지자체의 선도 모델
- 홍태용 김해시장, 19개 읍면동 순회… “시민 목소리 직접 듣는다”
- 김해시, 4대 첨단산업 클러스터로 산업 대전환 본격화
- [신년사] 홍태용 김해시장 “2025년, 김해 대전환의 원년…미래 30년 준비”
- 김해시, 2025년 달라지는 제도와 정책 안내… 시민 생활 전반 변화 기대
- 세코 비정규직 경비 노동자 사망…경남도의회, 책임론·대책 촉구
- 최학범 경남도의회 의장, 전통시장 민생현장 점검
- 경남도,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 앞두고 민관 합동 전략회의 개최
- 경남·부산 행정통합 논의 본격화…경남도의회 특위 활동 시작
- 양산시, 설 연휴 종합대책 수립…시민 안전과 민생경제 안정에 총력
- 사천바다케이블카·아라마루 아쿠아리움, ‘한국관광 100선’ 선정
- 경남도, 민생경제 회복 위해 13조 원 상반기 신속 집행
- 김해외국인근로자 봉사단, 동상동서 소독·폭염 예방 캠페인 실시
- 김해시, 제1회 시장배 ‘어울림 슐런대회’ 성료
- 김해시, 김해향교 추계 문묘석전 봉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