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 대학 사업 본격화, 동남권 경제벨트 중심도시 도약
[부산ㆍ경남 취재본부 / 신용소 기자] 홍태용 김해시장이 2025년 신년사를 통해 “김해가 시·군 통합 30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를 ‘대전환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홍 시장은 김해의 미래 30년을 준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제시하며 “지혜와 변화를 상징하는 푸른 뱀의 해에 시민들이 원하는 바를 모두 이루기를 기원한다”고 전했다.
홍 시장은 지난해 김해가 ‘전국체전, 동아시아 문화도시, 김해방문의 해’라는 대규모 행사를 성공적으로 치러내며 대도시로서의 역량을 쌓았다고 평가했다.
또한, 인제대의 글로컬 대학 선정, 7개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등 굵직한 성과를 거뒀으며, 4288억 원의 투자유치와 신성장 산업 동력 확보를 통해 경제 활성화에 힘썼다고 강조했다.
이는 “시민들과 함께 걸어온 덕분에 가능했던 성과”라며, 김해시민들에게 깊은 감사의 뜻을 표했다.
홍 시장은 2025년을 ‘대전환의 원년’으로 삼고, 지역 발전을 위한 다섯 가지 주요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먼저 미래 30년을 위한 토대 마련하기 위해 글로컬 대학 사업을 본격화하고 시와 대학, 혁신기관이 참여하는 인재양성재단을 설립해 지역 인재가 김해에서 배우고 일하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50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해 김해의 미래 청사진을 체계적으로 그려나 갈 방침이다.
둘째, 물류·로봇·반도체 융합허브, 미래자동차, 의생명·의료기기 클러스터를 구축해 동남권 경제벨트의 핵심 거점으로 성장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골목상권 활성화, 소상공인 육성자금 지원,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통해 실물경제의 활력을 높이고, 자율상권 구역 지정 등으로 지역 상권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셋째, 김해를 대한민국 탄소중립의 바로미터로 삼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탄소중립체험관과 환경교육센터를 중심으로 탄소중립 실천 교육을 확대하고, 친환경 자동차와 충전 인프라를 확충하며, 국립 김해 숲체원, 공립 상동 숲속야영장, 도심 둘레길 조성 등을 통해 녹색 생태 네트워크를 강화할 예정이다.
넷째, 동북아 물류플랫폼 유치를 적극 추진하고, 경전철 역세권 개발, 고속도로 연장, 국도 및 광역도로 확장 등 주요 교통망을 확충해 도시의 미래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장유공영여객터미널 정상 운영 및 신월역 조기 완공을 통해 시민들의 교통 편의를 높이고, 도시재생사업과 농촌재구조화사업을 통해 도시와 농촌 간 균형발전도 도모할 계획이다.
다섯째, 출산·양육·돌봄이 원스톱으로 이뤄지는 환경을 조성하고, 출산축하금 확대, 공적 돌봄센터 확충 등으로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복지 정책을 강화해 시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겠다고 밝혔다.
도립 동부공공의료원을 300병상 규모로 설립하고, 아이건강드림센터 조성, 평생건강 통합서비스 구축 등을 통해 시민 건강권을 보장하고, 안전망을 강화할 계획이다.
홍 시장은 신년사를 통해 “지방소멸과 인구 감소라는 거대한 파도를 넘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겠다”며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시민 여러분의 힘을 믿는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민선 8기 김해시정이 반환점을 돌았다”며, “김해의 변화가 서서히 그러나 반드시 느껴질 수 있도록 2025년에도 쉬지 않고 달려가겠다”는 다짐으로 신년사를 마무리했다.
관련기사
- 김해시 “쓰레기가 자원으로 대변신”… 지방재정대상 국무총리상 수상
- 김해시, ‘신어시민체육관’ 개관…시민 위한 스포츠 랜드마크 탄생
- 김해시, 민생안정과 공직기강 확립…비상시국 대처에 총력
- 김해시, 지역먹거리 지수 2년 연속 ‘A등급’ 달성
- 오세훈 시장,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 합동분향소 조문
- 나동연 양산시장 “일념통천의 자세로 시민과 함께 도약”
- 김해시, 4대 첨단산업 클러스터로 산업 대전환 본격화
- 홍태용 김해시장, 19개 읍면동 순회… “시민 목소리 직접 듣는다”
- 김해시, 지난 한 해 일회용 플라스틱 50t 감축… 전국 지자체의 선도 모델
- 김해시, 다문화도시로 도약… ‘글로컬 행복도시’로의 첫걸음
- 김해시, 2025년 달라지는 제도와 정책 안내… 시민 생활 전반 변화 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