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무역 강화 대응책 논의…3대 정책 목표와 41개 실천 과제 추진

박완수 경남지사가 14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미국 신행정부 출범 대비 민관 합동 경남 대응 전략회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 / 경남도
박완수 경남지사가 14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미국 신행정부 출범 대비 민관 합동 경남 대응 전략회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 / 경남도

[부산ㆍ경남 취재본부 / 신용소 기자] 경남도는 14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한국은행 경남본부,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한국무역협회 경남지역본부 등 18개 관계기관과 함께 민관 합동 전략회의를 열고, 미국 트럼프 신행정부 출범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며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이번 회의는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조선, 항공, 방산 등 경남의 주요 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불확실성을 기회로 전환하기 위한 대응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국은행 경남본부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금융시장과 외환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며, 원달러 환율 상승과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경남연구원은 보호무역 강화에 따른 경제적 충격을 대비하기 위해 복합위기 상황을 두 가지 시나리오로 제시하며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경남도는 이번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촘촘한 민생경제 회복, △든든한 기업 육성, △Big10+AI 신산업 육성을 3대 정책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41개 실천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박완수 도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트럼프 정부의 경제정책 변화가 경남의 산업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며 “경남의 주요 산업들이 어떤 영향을 받을지 유관기관과 협력해 분석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해 내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박 지사는 또한 “민생안정 특별기간 설정, 예비비 투입, 예산 조기집행 등 내수 활성화에 전력을 다하고 있지만, 행정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경제계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행정과 민간이 힘을 합쳐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는 한국은행 경남본부의 ‘국내외 경제 동향과 경남 경제 전망’ 발표와 경남연구원의 ‘경상남도 대응 전략’ 발표를 시작으로, 참석자 100여 명이 자유토론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며 마무리됐다.

경남도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경남 경제의 민생 안정과 신산업 육성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유관기관과 협력해 변화를 기회로 삼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