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동댐, 지난해 역대급 태풍 ‘힌남노’ 당시에도 큰 역할
경주시, 향후 가을 태풍에 대비해 당분간 일일 10~30만톤 예비 방류 예정

덕동댐 하류 보문관광단지 내 신평천 전경. 사진/경주시
덕동댐 하류 보문관광단지 내 신평천 전경. 사진/경주시

[울산ㆍ경주 취재본부 / 박로준 기자] 경주시는 제6호 태풍 ‘카눈’ 북상 전 덕동댐의 사전 방류 등의 선제적 조치를 통해 태풍 피해를 최소화했다고 14일 밝혔다.

시는 폭우를 대비해 덕동댐 100만 톤 사전 방류로 저수율을 75%로 맞췄으며, 이틀 동안 여수로* 방류 없이 내린 비 900만 톤을 그대로 받아들여 지난 11일 기준 99.2%(3200만 톤)의 저수율을 기록했다.

* 저수지 따위에서 물이 일정량을 넘을 때 여분의 물을 빼내기 위해 만든 물길

앞서 덕동댐은 지난해 영남지역을 관통한 태풍 ‘힌남노’ 상륙 당시에도 사전 저수율을 적절히 판단해 예비방류 없이 총 2000만 톤을 그대로 받아들여 하류지역의 북천, 형산강 범람을 막는 데 공헌한 바 있다.

덕동댐은 100% 만수위를 채우고 여수로를 통해 자연월류 하는 형식의 댐이었으나, 최근 극한호우 등 예기치 못한 기상현상에 대비하기 위해 자체 유동적으로 예비방류를 시행하고 있다.

시는 향후 가을 태풍에 대비해 당분간 일일 10~30만톤 예비 방류로 저수율을 90% 초반까지 유지해 내년 용수확보에도 차질이 없도록 할 예정이다.

주낙영 시장은 “화랑대기 축구대회 또는 보문관광단지를 찾는 방문객들에게 무더운 여름철 북천둔치 주변이 시원한 친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류 보문호 관리기관인 농어촌공사와 협의해 당분간 덕동댐의 예비방류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덕동댐의 방류시설은 ‘여수로’ 2곳과 ‘방류수문’ 4곳 등 총 6곳이다. 여수로 2곳은 저수율이 만수위를 넘어서면 자연 월류되도록 설계됐고, 방류수문 4곳은 안전을 위해 방류 기준에 따라 개방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