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철새 총조사 늘려 이동 형태 정밀 분석 및 대응능력 강화

사진은 기사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는 강원도 철원 철새도래지 관찰소 모습 / ⓒ시사포커스DB
사진은 기사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는 강원도 철원 철새도래지 관찰소 모습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올겨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예년에 비해 상시예찰 지점 및 기간을 늘릴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이번 대응은 올해 10월 15일 일본의 홋카이도의 야생조류 참매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이번 동절기 최초로 검출됨에 따라 국내도 발생 위험이 증가한 데 따른 조치다.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겨울철새의 유입과 북상 시기가 늦어지고 올해는 여름철에도 가금류에서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하는 사례가 있었다. 

이에 따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상시예찰 지점을 92곳에서 102곳으로 늘리고 예찰기간도 올해 9월부터 내년 4월까지 1개월 연장한다. 겨울철 철새 총조사 지점을 150곳에서 200곳으로 확대하고 ‘겨울철 철새 총조사’ 횟수도 당초 연간 8회에서 10회로 내년 2~3월에 2회를 추가한다.

올 겨울부터 기후에너지환경부 소속기관인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서 야생조류의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및 확산을 예측하는 과학적 예측기법을 적용해 효율적으로 조류인플루엔자 방역에 대응할 방침이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시 신속한 방역조치가 될 수 있도록 야생조류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정보를 농림축산식품부·질병관리청 등 유관기간에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등 협력체계도 더욱 공고히 할 방침이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올해 10월 한국 150곳의 습지와 하천 등에 도래한 철새 개체수는 53여만 마리로 작년 같은 기간에 확인한 72만여 마리에 비해 다소 감소했지만 인접국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한 만큼 우리나라도 안심할 수 없다”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