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상주·안동 방문해 청년창업·사회적경제 실태 파악

7일 이선희 기획경제위원장(왼쪽 5번째)과 이형식 저출생지방소멸극복특별위원장(왼쪽 4번째)이 지역 청년사업가들과 상주시 함창읍 소재 명주정원을 찾아 복합문화공간 조성 과정과 지역 사회 파급효과를 분석하며 관련 제도 개선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경북도의회
7일 이선희 기획경제위원장(왼쪽 5번째)과 이형식 저출생지방소멸극복특별위원장(왼쪽 4번째)이 지역 청년사업가들과 상주시 함창읍 소재 명주정원을 찾아 복합문화공간 조성 과정과 지역 사회 파급효과를 분석하며 관련 제도 개선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경북도의회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도의회 주요 위원장들이 지역 경제 현장을 직접 찾아 민생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7일 이선희 기획경제위원장(청도)과 이형식 저출생지방소멸극복특별위원장(예천)은 문경, 상주, 안동 등 3개 지역을 방문해 지역 중심의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가치 실현 사례를 점검했다. 이번 방문에는 수석전문위원과 지역 청년 사업가들이 동행했다.

문경에서는 오미자 등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가공식품 생산·판매 농업회사법인을 찾았다. 위원들은 기업 운영 방식과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책적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한 실질적 지원책 마련이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상주 함창읍에서는 복합문화공간 운영사를 방문해 유휴공간의 문화·경제 결합 모델을 살펴봤다. 로컬 콘텐츠 기반 창업 모델과 일자리 창출 효과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진행됐다. 복합문화공간 조성 과정과 지역 사회 파급효과를 분석하며 관련 제도 개선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안동시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는 장애인, 고령자, 다문화가정 등 취약계층 대상 친환경 농업 기반 일자리 운영 현황을 점검했다. 사회적 가치 실현과 지속 가능한 고용을 위한 제도적 과제에 대한 현장 의견을 수렴했다.

이번 현장 방문은 비회기 기간에도 민생경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청년 사업가들과의 현장 탐방을 통해 창업 및 경영 과정의 애로사항과 제도 개선 건의사항을 청취하며 실효성 있는 정책 지원 방안 마련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이형식 위원장은 “앞으로도 도민의 삶과 밀접한 현장을 자주 찾고, 그 목소리를 도정에 충실히 반영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지역 경제의 활성화와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선희 기획경제위원장은 “정책이 실효성을 가지려면 무엇보다 현장과의 끊임없는 소통이 중요하다”며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