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사과 생산량 62% 차지하는 과수농가 생존권 위협

제12대 후반기 경북도의회 단체 사진ⓒ경북도의회
제12대 후반기 경북도의회 단체 사진ⓒ경북도의회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도의회가 정부의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에 대해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도의회는 9일 최병준 부의장(의장직무대리) 명의로 성명서를 발표하고, 미국 상호관세 협상카드로 검토 중인 미국산 사과 수입 추진의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이번 성명서 발표는 지난 5일 모 언론사 보도에서 촉발됐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농림축산식품부에 한미 통상 협상 카드로 제시하기 위한 미국산 사과수입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경북 사과 주산지 시장군수협의회를 비롯해 각 생산자단체를 중심으로 도내 과수농가들의 강한 우려와 반발이 빗발치고 있는 상황이다.

경북은 국내 사과산업에서 절대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전국 사과 생산량의 62%를 담당하는 최대 주산지로, 청송, 영주, 안동을 중심으로 약 1만 8000여 농가가 1만 9000 헥타르에서 사과를 재배하고 있다. 총생산액 기준으로도 전국 1조 3769억 원 중 8247억 원(60%)을 차지할 정도로 전국 사과산업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경북도의회는 성명서를 통해 “미국산 사과 수입이 현실화될 경우 도내 사과생산농가는 물론, 국내 과수 산업 전체가 회복 불가능한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특히 “최근 초대형 산불 피해와 고령화, 이상기후, 생산비 상승으로 벼랑 끝에 내몰린 도내 과수 농가를 절벽 아래로 밀어버리는 행위”라며 정부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농수산위원회 신효광(청송) 위원장은 “더 이상 농민이 통상협상의 희생양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정부는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를 즉각 중단하고, 책임 있는 입장을 신속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