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잘해서 지지율 올라갔다 보지 않지만 민주당 반성해야”
“민주당은 국회 압도적 다수당, 탄핵후 안정 위해 정부와 협조했어야”
“이재명 ‘탈이념화·실용주의 성장론’은 정확한 해법, 그 방향으로 가야”
“李 위헌법률심판은 재판지연 오해 받을 수 있어, 합헌 판결 났던 사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좌)와 친명계 좌장으로 알려져 있는 5선의 중진인 정성호 민주당 의원(우). 시사포커스DB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좌)와 친명계 좌장으로 알려져 있는 5선의 중진인 정성호 민주당 의원(우).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탄핵 정국 속에서도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세를 타며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을 넘어서는 일부 여론조사 결과까지 나와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친명계(친이재명) 좌장’으로 불리는 정성호 민주당 의원이 24일 “탄핵 이후 국정 혼란 상황들과 경제 등 여러 가지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해 민주당이 어떤 노력을 했는지를 우리 스스로 돌아봐야 한다”고 조언하면서 자성의 목소리를 내고 나섰다.

정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하여 “저는 국민의힘이 잘해서 지지율이 올라가고 민주당이 못해서 떨어졌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진단하면서 “다만 어쨌든 탄핵 국면뿐만 아니라 그 전부터 민주당이 국회의 압도적 다수당 아니겠는가”라고 상황을 짚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는 당을 향해 “국회의 압도적 다수당으로서 국정을 안정시키고 민생 경제를 회복시키는 데 적절한 역할을 했느냐, 저는 (민주당에서) 그런 반성을 좀 해야 한다고 본다”면서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민주당의 책임은 없다’라고 하는 분들도 계시지만 저는 국회 다수당이기 때문에 정부와 좀 더 적극적인 자세로 협력하면서 민생과 경제 회복에 도움이 될 만한 이슈들은 우리가 주도하여 정부와 협조해야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라고 설명하여 사실상 대여 투쟁에만 몰두하면서 탄핵 남발 및 입법 독주의 폭주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당을 향해 제동을 걸고 나선 셈이다.

특히 정 의원은 탄핵 정국 상황에서 민주당의 거친 행보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그런 측면도 없다고 얘기할 수는 없다”고 인정하면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의결을 주도한 게 민주당이기 때문에 (민주당은) 탄핵 이후에 국정 혼란 상황들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했다”고 지적해 민주당 지도부가 그런 행동을 보여주지 못해 여론조사에서 민주당의 지지율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상황임을 에둘러 비판했다.

다만 그는 이재명 대표가 전날 신년기자회견에서 ‘이념과 진영이 밥 먹여주지 않는다’며 흑묘백묘론의 탈이념화 필요성과 함께 실용주의 성장론을 언급하고 나선 것에 대해 “현재 우리 대한민국의 상황에 맞는 정확한 어떤 해법을 제시한 것”이라고 긍정 평가하면서 “올해 성장률도 굉장히 낮다고 지금 예측되고 국민의 소비심리지수가 거의 최하 상태이기 때문에 국가의 성장 동력을 회복하고 내수를 촉진해서 경제와 민생 회복의 계기를 만들려고 하면 그런 방향으로 가야 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정 의원은 “이재명 대표는 좌우 또는 진보·보수 이런 이념에 사로잡혀서 살아온 분이 아니다”면서 “이재명 대표는 늘 실용적이었다. 성남시장이나 경기도지사였을 때 행보도 굉장히 ‘실용주의’였다”고 강조하면서 “이미 국면은 약간 조기 대선 국면으로 가는 상황인데, 저는 우리 국민들이 균형감이 있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 국민들이 미래와 국가의 안정과 성장의 회복 등을 위해서 합리적인 선택을 할 거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한편 사법리스크에 둘러싸여 있는 이재명 대표는 당장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재판으로 차기 대선 출마 행보에 적신호가 켜진 상황으로 위기감이 감돌고 있었는데, 이와 관련해 법조인 출신인 정 의원은 “재판부가 (전날 결심공판 일정을 언급한 것은) 재판을 신속하게 끝내겠다고 하는 의지를 표명한 것 같은데, 재판 진행을 더 봐야 할 것 같다”며 “공직선거법 250조에 허위사실 공표가 굉장히 애매한 부분이 있다”고 평가해 이 대표의 재판지연전략인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 방향에 힘을 보태는 모양새였다.

더욱이 정 의원은 “법률상 후보자 또는 후보자의 배우자든 가족들의 행위에 관하여 그 행위라고 하는 그 개념이 너무나 모호하기 때문에 이건 입법적으로 정비가 좀 돼야 한다”며 “그러나 이게 한 번 합헌 판결이 난 거기 때문에 지금 다시 이 문제가 재판 초기에 재기되는 것이 적정한지는 잘 모르겠다. 그리고 재판지연 전략으로 오해를 받을 수도 있다. 좀 더 신중하게 판단해야 될 것 같다”고 덧붙여 사실상 이 대표의 선거법 항소심 재판전략 꼼수에 대해 난감해하는 모습으로 비춰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