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지역 이미지 악화 우려 제기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사례 참고

이철우 경북도지사.ⓒ경북도
이철우 경북도지사.ⓒ경북도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도가 최근 발생한 철도 안전사고의 공식 명칭을 ‘무궁화호 열차사고’로 통일하기로 결정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날 오전 도청 간부회의에서 “이번 사고를 ‘청도 열차사고’로 지칭할 경우 청도 지역 전체의 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며 “정확한 사고 식별과 지역 명예 보호를 위해 공식 명칭을 ‘무궁화호 열차사고’로 통일해 사용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중앙 부처와 유관 기관의 명칭 사용 시 공식 변경을 요청하고, 지역행정기관 및 산하기관 협조 공문 등 문서상 표현을 변경하기로 했다. 또한 언론사 보도 및 보도자료, 언론사 제공 자료 일체에 해당 사고를 ‘무궁화호 열차사고’로 표기하도록 지침을 내렸다.

경북도 관계자는 “사고 장소가 특정 지역명으로 지칭될 경우, 지역 경제와 주민 생활 전반에 장기적인 부정적 파급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정확한 사고 내용 전달과 함께 지역 명예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행정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번 사고는 경부선에서 운행 중이던 무궁화호 열차가 철도 인근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 7명을 치인 안전사고로, 열차가 중심이 된 사고다. 그러나 일부 언론 보도와 SNS에서는 사고 발생지를 부각하는 표현으로 인해 지역 전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퍼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경북도는 이번 명칭 변경 결정과 관련해 국토교통부가 지난 1월 10일 발표한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사례를 직접 참고했다고 밝혔다. 전남도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 역시 초반에는 ‘무안공항 참사’로 불렸으나, 지역의 반발에 따라 국토부가 공식 명칭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명확히 정리한 바 있다.

국토부는 당시 공식 브리핑에서 “사고 지명을 전면에 내세운 명칭이 지역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킨다”며 “공식 명칭은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이며, 이를 모든 자료에 적용할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이철우 도지사는 이와 같은 사례를 언급하며 “지역사회는 사고 발생 그 자체보다, 이후의 명칭과 표현이 남기는 이미지에 더 큰 상처를 입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