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가 전 M&A 회생 위기, 생존 경영 돌입…노·사 “정부개입” 절실

홈플러스가 지난 13일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 없는 15개 점포를 순차적으로 폐점하는 것을 포함한 최후 생존 경영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홈플러스가 지난 3월 서울 강서구 소재 홈플러스 본사 8층 교육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기업회생 절차 및 현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사진은 조주연 홈플러스 사장이 기자회견문을 낭독하고 있는 모습. (사진 / 강민 기자)
홈플러스가 지난 13일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 없는 15개 점포를 순차적으로 폐점하는 것을 포함한 최후 생존 경영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홈플러스가 지난 3월 서울 강서구 소재 홈플러스 본사 8층 교육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기업회생 절차 및 현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사진은 조주연 홈플러스 사장이 기자회견문을 낭독하고 있는 모습. (사진 / 강민 기자)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경영 위기에 직면한 홈플러스가 회생 절차 인가 전 M&A 성사를 목표로, 점포 폐점과 무급휴직, 임원 급여 반납 등 고강도 자구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대해 노조는 '먹튀 시나리오 실행'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고, 증권가는 시장 지위 약화와 추가 구조조정을 전망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13일,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전국 15개 점포에 대해 순차적으로 폐점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동시에 본사 임직원 대상 무급 휴직제와 임원 급여 일부 반납 조치를 시행하며, 이는 회생 절차 종료 시점까지 지속된다.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는 “인가 전 M&A가 무산되면 회생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며 “이번 위기는 유통산업의 문제가 아닌 민생경제와 고용 안정 문제인 만큼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홈플러스 측은 대형마트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된 점을 지목하며, 이에 따른 매출 감소로 자금 유동성 압박이 가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회생 절차 중 외부 차입이 어려운 구조적 한계도 지적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 지부가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 15개 곳 순차 폐점 발표에 대해 'MBK 먹튀 시나리오'를 실행에 옮겼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 지부가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 15개 곳 순차 폐점 발표에 대해 'MBK 먹튀 시나리오'를 실행에 옮겼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하지만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는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폐점 조치는 회생이 아닌 청산 단계”라고 규정하며 ▲폐점 중단 ▲MBK(사모펀드) 책임있는 자구 노력 ▲국회 청문회 개최 ▲MBK 김병주 회장 구속 수사 등을 요구했다.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내년 상반기말 점포수는 올해 상반기말 대비 20곳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키움증권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내년 상반기말 점포수는 올해 상반기말 대비 20곳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키움증권

증권가도 우려를 표했다.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홈플러스 점포 수가 내년 상반기 말 기준 106개로 줄어들며 할인점 시장 내 순위가 현재 2위에서 3위로 하락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최근 회계연도 기준 EBITDA(리스 부채 상환 전 영업이익)는 -1600억 원 이상 적자를 기록했고, 판관비율이 35%에 달해 가격 경쟁력 유지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박 연구원은 “현재 홈플러스 인수 후보로 여러 기업이 리스트에 올랐다는 보도가 있었지만 해당기업들은 대부분 사실 무근이라는 반복 보도를 내고 있다”며 “9월까지 새로운 인수자를 찾지 못하면 점포 구조조정 압박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