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온라인·소비쿠폰 이중고, 매출 부진 불가피”…SSM 가맹점 역차별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정부는 이달 소비쿠폰을 풀면서도 소상공인 지원을 이유로 대형마트에선 못 쓰게 했다. 하지만 가공식품 물가 안정 대책 일환으로 대형마트·편의점에서 라면·빵·음료 등 가공식품을 최대 50% 할인하는 행사를 한다. 결과적으로 대형마트는 정부 시책에 동참해야 하지만 수혜를 누리진 못하게 된 셈이다.
이번 민생 회복 지원금(이하 소비쿠폰)은 총 13조 9000억 원 규모로, 1차 지급분은 오는 21일부터 시작된다. 기본 지급액은 1인당 15만 원이며 개인당 최대 55만 원까지 지원된다. 9월까지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 90%에게 지급된다.
소비쿠폰 사용처는 전통시장, 식당, 편의점 가맹점 등 연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업장에 한정된다. 대형마트는 물론 SSM(기업형 슈퍼), 백화점, 면세점은 모두 제외됐다. 편의점도 직영점이면 사용할 수 없고 대형마트에 입점한 소상공인(제과점, 커피숍, 리빙숍) 매장에서도 사용할 수 없다.
앞서 2020년 코로나 당시 긴급재난지원금이 가장 많이 쓰인 업종은 마트·슈퍼마켓·식료품(비중 27%)이었다. 지원금이 장보기에 많이 쓰이면서 대형마트를 향하는 소비자 발길이 줄었다. 이번에는 비수도권 식자재 마트 사용 여부를 검토 중이다. 비수도권 식자재 마트 사용이 허용될 경우, 대형마트 매출 피해는 지난 코로나 때보다 더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에 홈플러스 직원 대의기구 한마음협의회(이하 협의회)는 지난 1일 정부에 소비쿠폰 사용처에 홈플러스도 포함해 줄 것을 촉구한 바 있다.
협의회는 “재난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됐던 과거 사례를 보면 지급 시점에 매출이 최고 20%까지 감소했고, 이번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되면 매출 급감이 불가피하다”며 “현재 회생절차 중인 홈플러스는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이 불가능해 매출이 유일한 자금확보 수단으로 생존과 바로 직결돼 매출 급감은 회사 정상화 시점을 늦추게 될 것”이라고 했다.
더욱이 정부는 지난 4일 식품·유통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휴가철 가공식품 가격 안정 방안을 논의한 것은 대형마트로선 이중고다. 다음달까지 김치, 라면, 아이스크림, 커피, 음료 등 여름철 수요가 높은 품목 위주로 최대 50%까지 할인하는 행사를 실시하는 것이 골자다. 대형마트·편의점 등 주요 유통채널에서 실시한다. 대형마트도 연계한 할인 행사를 이달 중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대형마트는 그동안 정부 시책에 맞춰 물가 안정에 기여해온 측면이 있고, 이번 최대 50% 할인 행사 주 무대기도 하지만 소비쿠폰 사용처에선 제외됐다”며 “소비쿠폰을 모두 소진한 후에야 대형마트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고, 온라인으로 이동한 소비 트렌드 등으로 정부 시책에 맞춘 할인 행사를 해도 매출 부진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SSM은 직영점 가맹점을 막론하고 모두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됐는데 편의점의 경우 직영점만 아니면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어 역차별을 받고 있다”며 “대기업이 운영하는 CJ올리브영과 매출 약 4조 원의 다이소 매장도 직영, 가맹 구분 없이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어 SSM만 일괄 사용 제한을 한 이유가 궁금하다”고 했다.
관련기사
- 우원식, ‘K-바캉스 캠페인’ 참여 호소···“내수 살리기 동참해 달라”
- 명현관 해남군수, ‘해남애 미래공감 투어’ 시작…민생·폭염 대응 총력 당부
- 송언석 “국회, 이 대통령이 누르면 현금·입법 나오는 자판기로 전락”
- 김영록 전남지사 “소비쿠폰 조기 집행·산업 위기 대응 신속 추진” 주문
- 현대제철, 안전100년 제철소 위해 자회사·협력사 ‘맞손’
- 백화점, 자원순환형 리커머스 플랫폼 본격 가동
- [동향] “소비쿠폰 쓰세요”…편의점 4사, 총 1만여종 할인
- 어려운 소비쿠폰, 공부해야…받는 것도 쓰는 것도 ‘복잡’
- 홈플러스, “15곳 순차 폐점”…노조 ‘먹튀’-증권가 ‘경쟁력 하락’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