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어르신 교통비 경감 위한 월 6만원 ‘전국 통합 대중교통카드’ 도입도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16일 대통령 임기 내 광역급행철도인 GTX를 전국으로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후보는 이날 공약 자료를 통해 GTX·도시철도 등 교통시설을 확충하며 수도권 6개 순환 고속도로망 674km를 완성하고, 청년·어르신에 대한 교통비 경감은 물론 교통 약자의 편의를 강화하는 교통 정책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특히 수도권 GTX의 경우 대통령 임기 내 완성하고 노선을 평택·춘천·동두천·아산까지 각각 연장하는 한편, 수도권과 충청을 잇는 수도권 내륙선을 광역급행철도로 설계하겠다고 천명했다. 수도권 이외 지방에는 충청권과 대구·경북권, 부산·울산·경남권, 호남권 등 GTX 확대를 통해 교통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대전-세종-청주공항을 연결하는 충청권 CTX와 대구·경북 신공항 광역급행철도는 GTX급으로 격상시키겠다고 약속했다.
또 그는 서울 내부순환로 북부 구간과 강변북로를 지하화하고 수도권 순환 고속도로망을 완성해 교통 흐름을 개선시키며 수도권 중순환고속도로도 새로 만들어 교통을 분산하겠다고 했고 경부·경인 고속도로도 지하화 하겠다고 했다.
이 뿐 아니라 김 후보는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고자 서울·경기·인천 등 지방자치단체별로 있던 교통카드 정책을 통합해 전국 동일하게 적용되는 월 6만원의 전국 통합 대중교통카드(K-원패스)도 도입하기로 했다.
청년의 경우 월 5만원에 전국 지하철·버스·마을버스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K-원패스’를 구입할 수 있고, 만 70세 이상 운전자가 자발적으로 운전면허를 반납하면 K-원패스를 할인된 가격에 구입할 수 있게 하며, 65세 이상 고령층은 출퇴근 시간대에는 유임승차를 유지하되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는 버스 무임승차를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중증장애인 콜택시 차량 증차 및 배치 효율화와 온라인 예약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장애인 이동 친화적 교통 편의시설 인프라를 확대하기로 했다. 대중교통이 부족한 농어촌 및 고령 심화 지역의 교통 약자를 위해 일반 개인 차량을 활용한 유상 승차공유(‘농촌형 우버’)를 합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공약 보도자료를 내놓은 국민의힘 정책총괄위원회는 “교통 문제는 단지 이동 편의성 문제가 아니라 삶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국민이 누리는 사회적 복지”라며 “대한민국 어디에 살든 누구나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