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비상계엄 청구서 나왔어, 우리 경제 심각한 비상상황 됐음 증명돼”
“가구당 50만원 정도 증발한 상황, 멈춰버린 경제 심장 다시 뛰게 해야”
“트럼프 시대, 충격 최소화하고 불확실성 줄이는 실용적인 전략 필요해”
“이제 정부·국회·기업 민관이 하나되어 서로 협력하고 지혜 모아야 할 때”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과 관련해 “트럼프 시대에 우리 경제와 산업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하고 불확실성을 줄이는 실용적인 전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침체 된 내수 경기 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 화폐 예산 확대로 골목 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호소하며 자신의 공약인 전 국민 민생지원금 지급에 사활을 걸고 나선 모습을 보여줬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 본청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환영하면서 “정부와 국회, 기업과 민관이 하나가 돼 서로 협력하고 지혜를 모아야 한다”며 “정치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멈춰버린 경제의 심장을 다시 뛰게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면서 이같이 밝혔다.
무엇보다도 그는 “결국 예상했던 비상계엄 청구서가 국민 앞에 떨어졌다”고 한탄하면서 “계엄의 충격으로 실질 GDP가 6조3000억 원이 증발했다고 하는데, 가구당 약 50만 원 정도에 해당하며 우리 경제가 심각한 비상상황이 됐음을 증명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대표는 “굳이 통계를 인용 안 해도 소상공인·직장인·주부·청년·노인 누구 하나 고통스럽지 않은 사람이 없다”고 안타까워하면서 “지역 화폐 예산 확대로 골목 경제를 살리고, 위기 상황에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취약계층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그는 “경제에서 가장 큰 적은 불확실성”이라고 피력하면서 “민주당은 사회적 약자 지원법으로 민생 악화로 거리의 가장자리로 내몰린 어려운 사람들의 삶을 보듬어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아울러 이 대표는 정부를 향해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대한 대응 방향과 관련해 “자동차를 포함한 수출 주력산업은 물론, 무역·통상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잘 준비해서 이슈별·업종별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당부하면서 “관세와 방위비 분담금 문제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반면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에서는 민주당이 지난해 보여줬던 전례 없는 정부 예산안 감액 횡포 문제를 곱씹으면서 이 대표의 추경 편성 요구에 못마땅해하는 기색이 역력했고, 더군다나 연초인 만큼 추경 편성보다는 정부 예산 조기 집행이 우선시 돼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어 추경 편성을 둘러싼 여야의 신경전은 계속될 조짐이다.
다만 그러면서도 최근 정부와 여당은 올해 예산을 우선 조기 집행해 경기 활력을 살려보겠다던 입장에서 경기 보강 차원에서 추경도 검토해 볼 수 있다는 방향으로 급전환되고 있는 분위기도 감지됐는데, 특히 추경 편성권을 가진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추가 재정 투입’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기에 이 대표의 전 국민 민생지원금 지역화폐 지급 공약이 실현될 수 있을지 그 결과의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관련기사
- 김상훈 “지금 추경 편성 아니라 민생 입법·예산 조기 집행해야”
- 이재명, 트럼프 2기 출범 빌미 ‘추경’ 재촉구···“변화의 위기를 기회로”
- ‘탈이재명 시대’ 공세, 김용태 “극단 진영정치 부추긴 이재명 도태될 것”
- 이재명, 신속 추경 편성 재촉구···“아무것도 안 하는 것보다는 나아”
- 의료인 '프로포폴' 셀프처방…내달 7일부터 금지
- [기획] 민생경제 놓고 경쟁 나선 여야, 누가 민심 잡을까
- [기획] 지연된 이재명 ‘선거법 항소심’ D-1, ‘조기 대선’ 진검승부 신호탄?
- 이재명 “회복과 성장이 중대 과제, 이념과 진영이 밥 먹여주지 않아”
- 권성동, ‘이재명표 지역화폐법’ 거부권 시사···“곳간 털어 매표하겠단 것”
- 윤상현, 야권 지자체장 ‘지역화폐 살포’ 규탄···“민생의 탈 쓴 ‘표’퓰리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