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효자역 인근 초등생, 6차선 도로 건너 등교
장애인 교원 고용률 0.96%로 의무기준 미달
통학버스 중단으로 농어촌 학생 통학 차질
특수학교 교사 순환근무 제도 개선도 요구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도의회 교육위원회가 20일 경북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학생 통학로 안전 문제를 집중 제기했다. 박용선 경북도의원(이하 위원)은 포항 효자역 인근 초등학생들이 인도도 없는 6차선 도로를 건너 등교하는 위험한 현실을 지적하며 교육청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박 위원은 “효자시장 쪽 아이들이 철길을 건너고 6차선 도로를 건너서 초등학교로 간다”며 “인도도 없어서 엄청나게 위험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경북교육청이 포항시와 협의해 인도 설치나 안전한 육교 건설을 요구했는지 질문하며, 학구 조정을 통한 해결책도 제시했다.
통학버스 운영 중단 사태도 도마에 올랐다. 박 의원은 지난해 포항 지역에서 발생한 통학버스 운영 중단으로 학부모들이 민원을 제기했던 사례를 언급하며, 경기 파주시처럼 공영 통학버스 운영을 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특히 농어촌 지역 학생들이 시내버스로 1시간 반을 통학하다 지각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2개 시군 중 한 곳이라도 시범 운영해보자”고 제안했다.
장애인 교원 고용률 저조 문제도 지적됐다. 현재 경북교육청의 장애인 교원 고용률은 0.96%로 의무고용률 3.8%에 크게 못 미치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지난해 11억원에서 올해 85억원으로 고용부담금이 급증했다. 박 위원은 “교원 쪽이 어려우면 행정직에서라도 확대해 달라”고 요구했다.
특수학교 교사 순환근무 제도 개선도 요구사항에 포함됐다. 박 위원은 “포항명도학교(사립)는 대기자가 줄을 서는데 공립 특수학교는 미달”이라며, 장애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을 위해 담임교사의 장기 근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장애를 가진 아이들은 친해지는 데 오래 걸리는데 매년 교사가 바뀌면 아이들이 불안해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