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율주행차 운송 플랫폼 통합 운영 일환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T를 통해 서울 상암 지역에 ‘자율주행 DRT(수요응답형 교통)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12일 밝혔다.
DRT는 이용자 호출에 따라 최적 경로를 설정해 노선과 운행 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대중교통 서비스다. 정해진 노선 내에서 호출이 발생한 정류장에만 정차하는 ‘고정 노선’ 형태로도 운영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9월 서울 자율주행자동차 운송플랫폼 민간 사업자로서 선정된 후, 수요응답형, 구역형, 노선형 등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자율주행 대시민 서비스 일체를 카카오 T 앱에서 통합적으로 제공해왔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DRT 서비스는 자율주행 기술기업 에스더블유엠(SWM)과 협력해 마포구 상암 일대 ‘A02’ 노선에서 운영을 시작한다. 해당 노선은 휠체어가 탑승 가능한 차량 1대를 포함해 총 2대의 차량으로 운영된다.
이용자는 카카오 T 앱 내 전체보기에서 ‘DRT’ 아이콘을 선택한 뒤 노선, 승하차 정류장, 탑승 인원 및 시간을 선택해 차량을 호출할 수 있다. 배차가 완료되면 예상 대기시간, 차량 정보, 실시간 이동 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에서 운행되는 자율주행 DRT 서비스는 시범 운행 기간 동안 한시적으로 무료로 제공되며, 평일 오전부터 오후까지(오전 9시 30분 부터 오후 12시, 오후 1시 30분부터 오후 5시)에 상암 DMC역 부근(DMC역누리스퀘어·MBC·DMC역)에서 운영된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보다 많은 시민들이 카카오 T 앱에서 자율주행 DRT 서비스를 경험해보시길 기대한다”며 “계속해서 자율주행 생태계를 함께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