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로보틱스 파킹로봇 주차기술과 카카오모빌리티 플랫폼 역량 결합

카카오모빌리티와 HL로보틱스는 충북콘텐츠기업지원센터에서 로봇발레 주차 서비스를 정식 개시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와 HL로보틱스는 충북콘텐츠기업지원센터에서 로봇발레 주차 서비스를 정식 개시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카카오모빌리티는 HL로보틱스, 충청북도청과 협력해 충북 청주시 충북콘텐츠기업지원센터 지하 주차장에서  로봇발레 주차 서비스를 정식 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로봇발레 서비스는 HL로보틱스 자율주행 주차로봇 ‘파키(Parkie)’가 차량을 자동으로 주차 및 출차하는 방식으로 여기에 카카오모빌리티의 플랫폼 역량과 주차 기술이 결합됐다.

이용자는 차량을 노란선 표시 구역에 정차하고 시동을 끈 후, 키오스크를 통해 입차를 신청하면 된다. 이후 로봇이 차량을 주차 구역으로 이동시킨다.

출차는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전달된 링크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요청할 수 있다. 파키는 차량을 주차장 출구 방향으로 회전시켜 픽업 위치로 가져오며, 키오스크 확인 후 바로 출차가 가능하다.

이번 사업은 충북도청과 충북과학기술혁신원의 지원 아래 추진됐다. 현재는 입주 기관 직원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운영 중이며, 향후 일반 이용자 확대도 검토되고 있다.

현행법상 주차로봇은 기계식 주차장 설비로 분류돼 별도 구역이 필요하지만, 관련 법 개정 논의도 진행 중이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기술적 완성도가 높은 주차로봇을 실제로 편리한 서비스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통합교통서비스(MaaS) 플랫폼으로서 카카오모빌리티가 쌓아온 역량과 강점이 십분 활용됐다”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