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3500억 선불 굉장히 강하게 얘기…우리 입장에선 외환 사정상 굉장히 어려워”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대미 투자금 협상 문제로 미국을 방문 중인 구윤철 경제부총리가 16일(현지시간) “3500억 달러를 빨리 선불로 하라는 게 미국의 강한 주장이라고 알고 있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이날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 본부 건물에서 한국 특파원들로부터 ‘3500억 달러 선불 투자 방식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 입장에선 외환 사정상 굉장히 어렵다는 것을 저희 카운터파트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을 통해 계속 설득했고 베선트 장관은 충분히 그 부분을 이해하고 있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수용할지 여부에 대해선 불확실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구 부총리는 ‘외환 안정성만 확인되면 3500억 달러를 투자하는 데 걸림돌이 없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엔 “아니다”라며 “스킴(Scheme, 계획)에 따라 외환 안정성을 재차 점검해야 한다. 산업부와 미 상무부 간에 계획이 확정되고 나면 그에 따라 외환 수요가 나올 것이고 이후 한국 외환 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범위 내에서 가능할지 판단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또 그는 “우리가 일본처럼 한꺼번에 출자를 못한다는 것은 (미국 측도) 이해하고 있다고 판단한다”면서도 ‘투자액 3500억 달러는 불변인지’ 묻는 기자들의 질의엔 “다양한 형태의 대안이 있다면, 그게 수용이 된다면 그 부분도 변화 가능성을 우리는 계속 주장하고 있고 지금 양국 간에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에 길은 열어놓고 봐야 하지 않을까 보고 있다. 그런데 미국은 굉장히 강하게 얘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처음에 합의한 대미 투자금 3500억 달러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즉석에서 금액을 올린 것인지’ 묻는 질문엔 “한국은 적게 얘기하고, 트럼프 대통령은 더 많이 요구했다. 금액을 얘기하기 어렵지만 굉장히 많이 올렸다”고 밝혔다. 미국 측이 3500억 달러 이상을 요구했다는 과거 외신 보도와 관련해선 “그 이상은 우리가 어렵다. 제가 미국 측으로부터 그에 대해 들은 바는 없다”고 했다.
다만 구 부총리는 ‘마스가 전용 펀드라는 아이디어가 아직 있는지’ 묻는 질문엔 3500억 달러 중 1500억 달러를 별도로 조선 분야에 특화하는 방안을 미국과 협의하고 있다면서 “우리 입장에선 원하는 분야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좋고 미국도 굉장히 필요한 분야다. 미국과 한국이 지금 접점이 가장 맞는 분야”라며 “여러 부처를 설득해 놓으면 나쁘지 않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