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산불로 1만6000ha 산림 피해
임시주택 보급과 산림 복원 작업 동시 진행 중
송이 임가 지원과 주민 참여로 재난 극복 나서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 영덕군이 지난 3월 발생한 대형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종합 계획에 본격 착수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산불은 지난 3월 22일 의성군에서 시작돼 나흘간 1만 6207㏊를 태우며 사망자 10명을 포함해 총 66명의 인명피해와 1600여 세대의 주택 손상을 초래한 대형 재난이었다.
영덕군은 피해 복구를 위해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고 이재민 지원과 산림 복원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군은 이재민을 위한 임시주택 보급을 완료했으며, 현재 산불 피해지 398㏊에 대한 긴급벌채 작업을 진행 중이다.
산사태와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해 20개 지구 123개소에서 사방공사도 병행하고 있다. 이는 여름철 집중호우와 태풍 등으로 인한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다.
자연산 송이 최대 생산지인 영덕군은 송이 채취 임가 피해에 대한 특별위로금 지급을 완료했다. 피해 산림작물 복구비는 8월 초까지 지급할 예정이며, 송이 대체 작물 보급 사업도 연내 완료할 계획이다.
김광열 영덕군수는 “이번 산불로 지역 생태계와 주민들의 삶이 큰 타격을 입었지만, 전화위복의 정신으로 더 건강하고 아름다운 산림으로 가꾸는 기회로 삼겠다”고 밝혔다. 그는 “산림 복구뿐만 아니라 주민 지원과 향후 관리까지 책임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지역 주민들은 복구 작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공동체 연대를 보여주고 있다. 영덕군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재발 방지에도 힘쓸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김 군수는 “우리의 목표는 단순히 피해를 복구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국기법 모르는 영덕군, ‘태극기 달기 운동’ 전개
- 영덕황금은어축제, 연예인 공연 편중 ‘은어는 뒷전’ 지적
- 영덕군 수산물 할인행사, 예산 20%가 ‘운영비’ 논란
- 영덕군, 산불 피해 복구 위한 ‘국비 확보 협의회’ 개최
- 암 투병 중인 이철우 경북도지사 “아프다고 도정 멈출 수 없다”
- ‘한·일 교직자 교류회’ 개최, 韓 교육여행 시범 탐방 진행
- 정부, ‘고령자친화기업’ 17개소 신규 선정…최대 2억원 지원
- 국비에 목마른 영덕군, 산불피해 지역 ‘우선 지원사업’ 제외 논란
- 영덕군, AI 드론 산불감시 시스템 구축
- 영덕군, 블루로드 트레일런 대회 개최
- 영덕 송이장터, 초대형산불 피해 극복 위한 새로운 출발
- 영덕 송이의 기적, 산불 이후 첫 수확 장터 개장
- 전국 땅밀림 감시시스템, 9개월간 ‘3천여건’…위험 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