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해결 긍정 신호탄?···“의료계와 잠정적 공감대 형성돼”

22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인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거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 김경민 기자
22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인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거 국회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 김경민 기자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을 맡고 있는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2일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한 ‘국민 참여형 의료개혁 공론화위원회’ 출범 시기를 오는 7월로 예상하면서, 가장 큰 의정갈등 이슈였던 의대생 증원 문제에 대해서도 “잠정적 공감대는 형성됐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하여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의대생 증원 문제는 어느 정도 추계기구를 통해 정리해 나가는 것으로 풀렸다”면서 의정갈등 상황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가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의료계 단체 관계자분들은 다 만났고, 술도 마시고 밥도 먹고 차도 마셨다. 사우나만 안했다”며 “대부분의 의료계가 (국민참여형 의료계의 공론화위원회를 만들자는 것에 대해) 동의하는 수준까지는 만들어 왔다”고 자부했다.

이어 “저희가 봤을 때는 의료계 내부에 굉장히 다양한 목소리가 존재한다”며 “문제는 몇 가지가 더 남아 있는데, 테이블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인가 부분은 좀 정리해 나가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 공론화위원회에서 논의된 것이 대한의사협회(의협) 전체 의견으로 정리가 되는 건지 확인하는 작업도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건 빨리 정리하고 오래 걸리는 건 사회적 논의도 필요하여 시간을 들이는 식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박 의원은 전공의 복귀 문제에 대해서도 “전공의들이 요구했던 건 (의대 증원 문제) 이것만은 아니였다.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돼왔던 의료개혁 프로세스에 따른 여러 가지 정책 중 일부는 지금 진행되고 있지만, 의료계가 봤을 때 ‘이건 아니다’ 하는 것도 있다”고 상황을 짚으면서 “그 부분에 대해서도 추려내고 재검토 재논의가 가능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들이 지금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이뿐만 아니라, 그는 의대생 복귀 문제 해결 방향에 대해서도 “의대생들에게 연락이 많이 오는데, 무조건 복귀하겠다는 것이라기보다는 돌아올 수 있을 만한 명분 같은 게 필요하다고 얘기를 하시는 분들이 많다”며 “또한 교육환경 개선 관련된 얘기를 많이 해 주셨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무엇보다 그는 “시간을 한정 없이 끌 수는 없다”며 “왜냐하면 의대생들 복귀에도 어느 정도 시한이 있기에, 개인적으로 6월 말 7월 초, 적어도 7월 중에는 돼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의료개혁 공론화 기구의 7월 출범 목표로 제시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대선 과정에서 ‘국민 참여형 의료개혁 공론화위원회 설치’를 공약하면서 의료계 혼란을 바로잡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의료계와 대화하는 공론화 기구를 통해 의정갈등을 해결하겠다는데 방점을 찍은 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