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21일 '금척리 고분군' 발굴조사 고유제 거행
금척리 고분군은 신라가 3국을 통일하기 전 5~6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
[울산ㆍ경주 취재본부 / 김대섭 기자] 신라시대 50여 개의 크고 작은 무덤들이 모여 있는 '금척리 고분군'의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된다.
경주시는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와 함께 지난 21일 오전 10시 30분 고유제를 시작으로 건천읍 금척리 251번지 일원에서 ‘금척리 고분군 발굴조사’에 나선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발굴조사는 경주시가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와 함께 중장기 계획을 세우고 처음으로 시행되는 발굴조사라는데 큰 의의가 있다.
경주를 대표하는 고분군인 대릉원과 비교될 만큼 중요한 유적이지만, 본격적인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이다.
금척리 고분군은 신라가 3국을 통일하기 전 5~6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금으로 만든 자가 매장되어 있다는 금척(金尺) 설화와 신라의 행정조직체 모량부와의 연관성 때문에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번 발굴로 신라 왕경 중심부와 주변 고분군의 비교를 통해 금척리 고분군의 성격을 명확하게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전체 13만 3400㎡를 총 7개 지구로 나눠 전체적인 발굴조사를 진행해 대형 봉토분은 물론 눈으로 확인되지 않는 고분까지 조사에 나선다.
이를 통해 고분 묘역 경계와 폐고분의 존재 여부 등을 파악해 향후 복원·정비에 활용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고유제는 경주시, 국가유산청, 학계, 지역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주향교의 집례로 거행됐다.
이날 행사는 조사단의 안전을 기원하고, 금척리 고분군의 첫 학술발굴조사를 축하하기 위해 국악브라스밴드 시도(XIIDO)의 식전공연을 시작으로, 고유제 봉행, 시삽, 기념 촬영의 순서로 진행됐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이번 행사는 국가유산청에서 실시하는 미래지향적 국가유산 관리체계를 위한 첫 사례로 '국가유산 거주지역 정주환경 개선' 및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의 모범사례가 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경주시, 6.25 전쟁 참전 유공자 유족에게 '무공훈장' 전수
- 경주 성동새마을금고, 수채화교실 '물빛사랑' 일곱번째 이야기
- 경주시, 도시개발국 소관 ‘시정현안 언론브리핑’ 가져
- 경주시의회, 경북도민체육대회 방문해 선수들 격려
- 경주건천지하도, 56년만에 ‘역사 속으로’…평면화사업 준공식 개최
- 경주시, '황금대교' 준공식 가져
- 르브루 박물관 수석부관장, 경주 솔거미술관 깜짝 방문
- 경주시 건천읍 건강나라 이창훈 대표… ‘통큰 기부’
- [단독] 경주몽 P씨 거짓말, 경북TP 예산 부실집행 가능성 증폭시켜
- 경주시, 중국 시안서 ‘신농업혁신타운 조성사업’ 소개
- “‘멍멍 야옹’ 펫 산업을 말해보자!”…경주시, 제14회 시민원탁회의 개최
- [기획] 경주시청‧국가유산청, 왕릉복원 졸속 추진 의혹
- 경주시, '당정협의회' 개최…내년 국-도비 확보 총력
- 경주시, 토함산 일대 산사태 예방 합동점검 실시
- 김석기 국회의원 "APEC 정상회의 최적지는 경주"…막바지 총력전 돌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