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XA손해보험, 2024 운전자 교통 안전 의식 조사 결과 발표

대다수의 운전자가 고령운전자에게 사고 위험을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AXA손해보험
대다수의 운전자가 고령운전자에게 사고 위험을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AXA손해보험

[시사포커스 / 임솔 기자] 운전자 대부분이 고령운전자로부터 사고 위험을 느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XA손해보험(이하 악사손보)은 운전자들의 교통안전 인식과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만 19세 이상 운전면허 소지자 1400명을 대상으로 ‘2024 운전자 교통안전 인식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운전자 10명 중 7명(76.1%)이 ‘고령운전자로부터 사고 위험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세부적으로는 매우 자주 있다(6.0%), 자주 있다(10.4%), 가끔 있다(59.7%)로 나타났다.

또한 ‘고령운전자의 교통법규 위반 유형’으로는 ‘안전운전 불이행’(50.6%, 중복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안전거리 미확보’(36.8%), ‘신호위반’(33.3%)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운전자의 기본 안전수칙 미이행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 따르면, 65세 이상 운전자가 유발한 교통사고는 2020년 3만1072건에서 2024년 4만2369건으로 36.4% 증가했다.

이와 함께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가장 필요한 대책’으로는 ‘운전 적격여부 검사(자격유지 검사) 실효성 강화’(56.5%, 중복 응답)가 1위로 꼽혔다. 다음으로 ‘조건부 면허제 도입’(53.1%), ‘비상자동제동장치(AEBS) 등 첨단 안전장치 설치 장착 유도’(43.1%), ‘페달 블랙박스 설치’(37.9%)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만 65세 이상이 됐을 때 면허를 자진 반납하겠느냐’는 질문에 운전자들은 39.4%가 ‘반납하지 않겠다’, 37.5%는 ‘모르겠다’고 답해 전반적으로 자진 반납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악사손보 관계자는 “고령층의 운전은 사회 전체의 교통안전과도 밀접하게 연결된 사안”이라며 “악사손보는 다양한 캠페인과 보험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안전한 도로교통문화를 만들어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