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견제?, 국힘과 연대 고려 안 해···과거 방식은 시대착오적”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가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김경민 기자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가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김경민 기자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가 내년에 열린 6·3 지방선거와 관련해 국민의힘과의 연대설에 대해 “고려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이 대표는 6일 국회에서 열린 개혁신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의힘과의 연대에 대한 질문이 많아 명확한 입장을 전달하고자 한다”며 “이재명 정부를 제대로 견제해 낼 수 있는 것은 국민의힘의 과거 방식이 아니라, 새로운 방식의 개혁신당이다. 우리는 새로운 방식으로 이겨낼 것이다”고 공언했다.

그는 “보수진영은 2012년 총선과 대선 이후 전국 단위 선거에서 거듭 패배해 왔다”며 “그 이유는 단 한 가지, 변화를 거부하고 ‘뭉치면 이긴다’는 시대착오적 전략에 매달렸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개혁신당은 작은 세력임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며 “권력자의 눈치 보다 국민의 권익을 우선하는 선택을 했는지 매일 되새기면서, 다음 지방선거에서도 연대와 같은 산술적 ‘정치공학’보다는 국민을 위한 새로운 도전을 지속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개혁신당은 창당 이후 국회의원 선거와 대통령선거를 거쳐 이제 지방선거를 준비하고 있다”며 “매번 ‘완주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과 조롱, 압박을 받아왔지만, 당원들의 결연한 마음과 새로운 정치문화 확립에 대한 진정성으로 한 단계씩 성장해 왔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 대표는 “고비용·저효율의 정치가 젊은 세대와 신인들의 참여를 가로막고 있다”고 우려를 표하면서 고심하는 지점을 드러냈다. 그러면서도 “서울의 좋은 학원을 찾아 올라가지 않아도 인터넷 강의나 EBS 강좌가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여 사교육비를 줄이고, 소득에 따라 꿈의 크기가 제약되지 않도록 역할을 해왔듯이, 개혁신당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저비용이지만 맞춤화된 방식으로 누구나 선거에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낼 것”이라며 “내달 초에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선거 지원 시스템을 대중에게 공개하고 시연해 보이겠다. 정치개혁은 거기서부터 시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