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에는 하루 늦으면 한 세대 뒤처져…AI 시대의 고속도로 구축해 미래 열어야”

[시사포커스 / 오훈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에서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시사포커스 / 오훈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에서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4일 2026년도 본예산 시정연설에서 “정부가 마련한 2026년 예산안은 AI 시대를 여는 대한민국의 첫 번째 예산”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연단에 올라 “겪어보지 못한 국제 무역 통상질서의 재편과 AI 대전환의 파도 앞에서 국가 생존을 모색해야 할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해 있다. 농경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 산업사회에서 정보 사회로 전환해 왔던 것처럼 AI 사회로의 전환은 필연”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산업화 시대에는 하루가 늦으면 한 달이 뒤처지고 정보화 시대에는 하루 늦으면 일 년이 뒤처졌지만 AI 시대에는 하루가 늦으면 한 세대가 뒤처진다”며 “출발이 늦은 만큼 지금부터라도 부단히 속도를 높여 선발주자들을 따라잡아야 우리에게도 기회가 생긴다”고 주장했는데, 이 대통령은 내년도 AI 관련 예산만 10조1000억 원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박정희 대통령이 산업화의 고속도로를 깔고, 김대중 대통령이 정보화의 고속도로를 낸 것처럼, 이제는 AI 시대의 고속도로를 구축해 도약과 성장의 미래를 열어야 한다”며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급인재 1만1000명을 양성하고, 세대별 맞춤형 교육을 통해 국민 누구나 AI를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 AI 시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인 고성능 GPU 1만 5천 장을 추가 구매해 정부 목표인 3만 5000장을 조기에 확보하겠다”고 천명했다.

이 뿐 아니라 “AI·콘텐츠·방위산업 등 첨단 전략산업 분야의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한 R&D 투자도 역대 최대 규모인 35조3천억 원으로 19.3% 확대 편성했다. 향후 5년 간 150조 원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해 미래 성장의 씨앗인 첨단전략산업 육성을 도모하고, 성장의 혜택을 국민께서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며 “내년은 AI 시대를 열고 대한민국이 새로운 백 년을 준비하는 역사적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특히 그는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꼭 필요한 예산은 과감하게 편성하되 불필요하거나 시급하지 않은 예산은 대폭 삭감했다. 정부는 2026년 총지출을 올해 대비 8.1% 증가한 728조 원으로 편성했다”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정부는 열린 자세로 국회의 제안을 경청하고, 좋은 대안은 언제든 수용하겠다. AI 시대, 미래 성장과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함께 고려한 전략적 투자인 만큼 국회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한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이날 시정연설을 보이콧한 국민의힘을 의식했는지 “비록 여야 간 입장 차이는 존재하고 이렇게 안타까운 현실도 드러나지만 국민과 나라를 위하는 진심은 다르지 않다고 믿는다”며 “이번 예산안이 법정기한 내 통과돼 대한민국이 새로운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초당적인 협력을 부탁드린다. 2026년 예산안이 치밀한 심사를 거쳐 신속히 확정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