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활동 86% 진행, 7~10일 이내에 대부분 자연 소멸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가 지난 1일 기준 전체 활동의 약 86%가 진행된 것으로 예측돼 7~10일 이내에 대부분의 개체가 자연 소멸할 것으로 4일 전망했다.
러브버그는 일본·중국·대만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관찰되는 부식성 파리류다. 인체나 농작물에 피해를 주지 않지만, 대량 발생 시 일시적인 불편을 유발한다.
주로 6~7월에 발생하는 성충은 꽃가루를 옮기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불빛에 모이는 특성과 높은 밀도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는 시민과학 플랫폼에 등록된 관찰 기록과 기상 자료를 결합해 러브버그의 활동 개시·최성기·종료 시점을 예측했다. 그 결과 올해 러브버그의 최초 발생 시기는 전년도보다 약 일주일 늦어졌다.
이에 따라 활동 종료 시점도 늦춰질 것으로 전망됐다. 경기 남부와 중부 지역에서도 관찰 기록이 확인됨에 따라 향후 분포가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관계 부처와 협력해 러브버그의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앞으로도 신뢰할 수 있는 예측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 정진우 서울중앙지검장 “국민 시각에서 검찰이 고칠 것은 고쳐야”
- 김병기, 추경합의 불발에 책임 공방···“국민의힘이 약속 파기한 것”
- 국민의힘 “북한 핵폐수 방류, 정부가 국민 불안 해소해야”
- 강진군, ‘전남형 골목상권 첫걸음’ 사업 선정…서문길 상권 활성화 시동
- 여야, 추경안 심사 협상 결렬···민주 “다수결의 원칙 지킬 수밖에”
- 6월 폭염·열대야 기승…평균기온 역대 최고
- 방통위, ‘민생회복지원금’ 사칭 유료서비스 가입 주의보
- 국토부, ‘도로 현장 맞춤형 안전관리 매뉴얼’ 제작·배포
- 한국산림복지진흥원, 350억 규모 ‘녹색자금 지원사업’ 공모 접수
이청원 기자
6352seoul@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