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관계자 주거지 등 10여 곳 대상, 김건희 개입 여부가 수사 핵심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배우자인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다루는 민중기 특별검사가 3일 김 여사의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에 대한 압수수색을 개시하면서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전날 현판식을 내걸며 공식 출범했던 김건희 특검팀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오늘 오전 삼부토건 등 회사 및 피의자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김건희 특검팀이 전날 서울중앙지법에 압수수색 영장을 청구했고 법원은 바로 발부 결정을 내려준 것으로 전해졌다. 압수수색 대상은 서울 종로구 삼부토건 본사와 관계자 주거지 등 10여 곳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 김 여사가 개입한 정황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해당 사건은 윤 전 대통령 재임 중인 지난 2023년 5월, 삼부토건이 ‘우크라이나 글로벌 재건 포럼’에 참석한 이후 주가가 급등한 데서 비롯된다.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추진 성과가 없는 삼부토건이 정부 공식행사에 참여하게 된 배경에 김 여사가 영향력을 행사했는지가 수사의 핵심이다.
당시 삼부토건 실소유주인 조성옥 전 삼부토건 회장 등은 삼부토건 주가가 폭등하자 보유 주식을 팔아 수백억 원대의 부당 이득을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삼부토건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실제 참여 의사가 없는데도 현지 건설사 등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홍보를 통해 인위적으로 주가를 띄웠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4월 관련자들을 검찰에 고발했다. 다만 당시 김 여사는 고발 대상에서 빠져 있었다. 최근까지 금감원 특별사법경찰은 서울남부지검에 지휘를 받으며 수사를 해왔다가 지난달 27일 사건 기록과 자료를 모두 특검팀으로 이송했다.
관련기사
- [기획] 내란·김건희·채해병 ‘3대 특검’ 본격 가동, ‘尹 부부’ 수사 속도
- 박지원·민형배, 김건희 ‘휠체어’ 퇴원에 의구심···“동정심 유발 술책”
- [기획] 특검 출석 앞둔 尹, 이재명 정권이 겨눈 칼날 피할 수 있을까?
- 민주 박성준, 입원한 김건희 여사에···“특검 수사 피하기 위한 작전”
- 유엔 군축연수단, ‘8차 방한’ DMZ 안보견학 등 일정
- 민주 김병기 “尹에 1분 자유도 허용해선 안 돼, 감옥으로 돌려보내야”
- 김건희 집사 압수수색 영장 기각에···민주 “필요하면 특검법 개정”
- 김건희 특검팀, 尹 부부 자택·코바나 사무실 압수수색 돌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