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델링·개보수 이슈 있어···이원화해야 하는 상황 올 수도”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100일 이전 청와대 복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한 가운데 문재인 정부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을 역임했던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일 “내부 소식통에 확인한 바로는 청와대 복귀에 1~3개월 정도 소요될 것”이라고 밝혔다.
윤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하여 이 대통령의 취임 100일 이전 대통령실을 다시 청와대로 이전 가능한지를 묻는 사회자의 질문에 대해 “청와대 입주 시기는 개방된 곳과 개방되지 않은 곳으로 분류할 수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다만 그는 “중요한 건 리모델링 여부, 개보수 이슈가 있다. 예를 들면 여민관 같은 경우에 안전진단을 받으면 위험 등급이 나올 거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굉장히 오래된 건물”이라면서 “리모델링을 하느냐에 따라서 청와대 입주까지 상당한 기간이 걸릴 수도 있다”고 진단을 내놓기도 했다.
윤 의원은 “윤석열(전 대통령) 씨가 용산 이전을 급작스럽게 하면서 주요 설비를 못 구하니까 청와대 지하 벙커를 뜯어서 갔다”며 “용산에도 지하벙커가 필요하기에, 지하벙커를 정상적으로 재가동하기 위해서 (청와대) 현장에서 무엇을 뜯어갔는지 확인해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참고로 청와대 지하 벙커를 구축하는 데 한 1년 정도 시간이 걸렸다”며 “경우에 따라서 위기관리센터를 이원화를 해야 할 수도 있는 상황이 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뿐만 아니라 윤 의원은 청와대 관저 이전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최종 판단은 새 정부에서 하겠지만, 저라면 다른 곳으로 이사할 것 같다”며 “왜냐하면 청와대는 너무 많이 공개됐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나아가 그는 “이재명 대통령 내외가 관저로 들어가게 된다면 경호 때문에 북악산을 통제할 수밖에 없다”면서 “그러면 북악산을 국민께 돌려준다든지 청와대를 국민께 오픈한다든지 이런 취지에 반하게 된다. 문재인 정부 때도 장기적으로 대통령 관저를 다른 곳으로 옮기고 그 동선을 개방하자는 이야기가 있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한편 앞서 전날(9일) 대통령실은 용산 대통령실을 청와대로 옮기는 것에 대해 ‘이전’이 아니라 ‘복귀’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청와대 이전 계획’에 대해 “청와대 이전은 말 그대로 헌법상 청와대를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며 “그렇기에 저희는 청와대로 복귀하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대통령실은 용산 대통령실 이전과 관련한 청와대 복귀 추정 비용에 대해서는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