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의료·행정분야, ‘양자내성암호’ 전환 착수

정부세종청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경 ⓒ뉴시스
정부세종청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경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국가 암호체계의 안정적 전환 준비를 위한 ‘2025년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양자컴퓨팅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초래될 기존 암호체계에 대한 보안 위협 가능성에 대비해 국민 생활과 밀접한 에너지·의료·행정분야의 정보통신 기반(인프라)을 시작으로 주요 산업분야에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하는 국내 최초 시범사업이다.

양 기관은 지난 1월부터 사업자 선정을 위한 공모를 진행해 ▲에너지 분야에 한전KDN 연합체 ▲의료 분야에 라온시큐어 연합체 ▲행정 분야에 LGU+ 연합체를 최종 선정했다.

한전KDN 연합체는 한국전력공사의 ‘전력 사용량 원격 검침 체계’의 암호체계를 양자내성암호 체계로 시범 전환한다. 이를 통해 전국 가정의 중요 정보가 포함된 검침 데이터의 유출 및 위변조를 방지하고, 향후 추가적인 에너지 분야 기반 체계(인프라 시스템)에 대한 양자내성암호 전환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라온시큐어 연합체는 ‘의료 데이터 중계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의 암호체계를 양자내성암호 체계로 시범 전환한다. 정부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디지털 건강돌봄(헬스케어) 환경에 적합한 암호체계 전환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LGU+ 연합체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이 운영하는 ‘국가기술자격검정체계’ 등 국가 행정정보체계의 암호체계를 양자내성암호 체계로 시범 전환한다. 이를 통해 행정 분야 환경에 적합한 보안 기술을 확보하고, 향후 개발 해결책(솔루션)을 확산해 공공 서비스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양 기관은 시범사업을 통해 양자내성암호 전환 관련 실증사례를 확보해 ▲암호체계 전환에 필요한 부분(모듈) 개발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상 문제점과 해결 방안 ▲실제 전환 절차와 방법론 등을 도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