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이 등 채취 임산물에 대한 피해조사 병행
5개 시군 피해액 1조 4000억, 15일까지 조사 완료
소상공인 지원·수산물 꾸러미·수질 점검 등 대응

경북산불 현장.사진/김영삼 기자
경북산불 현장.사진/김영삼 기자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도가 지난 3월 22일 발생한 초대형 산불로 인한 산림작물 피해 현황을 면밀히 조사해 15일까지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에 반영할 계획이다.

10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번 대형 산불로 경북 북부지역 송이 주산지를 비롯한 임산물 분야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임업인의 사유 시설 피해가 빠짐없이 반영되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중앙합동조사와 복구계획이 확정되면 표고재배사, 대추비가림 등 재배시설에 대한 피해복구와 호두, 밤, 대추 등 산림작물의 소실로 인한 대파, 병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 살포 등 피해 정도에 따른 맞춤형 복구 비용이 지원된다.

특히 이번 산불 피해를 입은 5개 시군(의성군, 안동시,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은 전국 송이 생산량의 43%를 차지하는 주요 산지다. 그러나 산불로 타버린 송이 산에서 다시 송이를 생산하기까지는 최소 40~50년이 소요돼 송이 임가들의 시름이 깊은 상황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송이버섯이 재배작물이 아닌 자연발생에 의한 채취 임산물로 분류돼 정부 지원 복구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생계가 막막한 송이 피해 임가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경북도는 송이 등 채취 임산물에 대한 피해조사를 병행하고 있으며, 산불 피해 임지에 송이를 대체할 단기소득 임산물을 조성할 수 있는 사업을 정부 추경 지원사업에 반영되도록 적극 건의하고 있다.

아울러 이번 산불로 사유재산 피해가 발생한 임업인에게는 재해복구비 융자금을 연 1.5%의 고정금리로 5년 거치 10년 상환할 수 있는 ‘임업 재해복구자금 융자’를 지원한다.

또한 기존 대출을 받은 임업경영자금의 상환 연기나 이자 감면 지원 등 직접적인 복구비 외에도 간접적 2차 지원을 동시에 진행해 임업인의 소득 공백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조현애 경북도 산림자원국장은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산림을 복원해 임업인이 산을 가꾸며 소득작물을 생산하는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산불 피해를 입은 표고버섯재배사.사진/김영삼 기자
산불 피해를 입은 표고버섯재배사.사진/김영삼 기자

한편, 경북도는 산불 피해 극복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도 마련하고 있다. 9일부터 15일까지 행정안전부를 주축으로 11개 부처와 민간 전문가를 포함한 100여 명의 중앙합동조사단이 피해지역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입력된 피해 신고액은 사유 시설 기준 3865억원, 공공시설 분야는 1조 435억원에 달한다.

소상공인 지원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현재까지 5개 시군에서 236개소의 소상공인 피해가 접수됐으며, 도는 피해 소상공인이 번거로운 절차 없이 한곳에서 상담부터 확인서 발급까지 완료할 수 있도록 원스톱 지원체계를 구축했다.

이 밖에도 경북도는 산불 피해 지역 수질 점검 강화, 수산물 꾸러미 사업 추진, 한국세무사회와 경북여성기업인협의회 등의 성금 기부 등 다양한 지원과 복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