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화재 인명피해 연평균 650명, 재산피해액 사계절 중 가장 커

최근 5년간 계절별 화재발생 현황 ⓒ소방청
최근 5년간 계절별 화재발생 현황 ⓒ소방청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소방청이 최근 5년간 화재 발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25 봄철 화재예방대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소방청에 따르면 봄철(3~5월)은 다른 계절에 비해 화재발생 건수가 상대적으로 많고(28.0%), 그중에서도 3월은 1년 중 화재발생 건수가 가장 많은 것(1만 8727건)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2020~2024년) 봄철 화재발생 건수는 5만 2855건으로, 전체의 28.0%를 차지해 계절별로 비교했을 때 ▲봄(28.0%) ▲겨울(26.7%) ▲여름(22.8%) ▲가을(22.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봄철 화재로 인한 재산피해는 1조 5000억 원으로 전체 재산피해액 중 32.6%가 봄철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가을철 화재로 인한 재산피해액보다 2배 큰 것으로 분석됐다. 봄철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최근 5년간 평균 650명으로, 겨울철 다음으로 많았다.

화재의 원인은 ▲부주의 55.4% ▲전기적 요인 20.6% ▲기계적 요인8.8% 순으로 절반 이상이 담배꽁초 등 부주의로 인한 화재였으며, 전기적 요인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인 것으로 분석됐다.

전기적 요인으로 인한 화재의 경우, 전선 노후화 및 전선 단락, 분진 등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화재장소로는 주거시설(27.2%)이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뒤를 이어 야외‧임야 (22.1%), 자동차‧철도(11.6%) 순이었다.

이에 소방청은 오는 5월 31일까지 3개월간 전국의 소방역량을 집중해 봄철 대형화재 예방으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화재예방활동에 나선다. 특히, 지역 축제 및 행사장 나들이객을 대상으로 부주의로 인한 화재피해를 줄이기 위한 홍보 캠페인도 함께 추진한다.

또, 해빙기를 맞아 지역축제 및 행사장에 대한 합동점검 등을 실시해 화재 위험요인을 사전제거하고, 자력 대피가 곤란한 노유자 시설 및 의료시설에 대해서는 관계기관과 합동점검을 추진해 피난․방화시설 폐쇄․잠금 행위 등 단속을 실시할 예정이다.

봄철 농촌에서 두렁에 불을 놓거나 영농 부산물, 쓰레기를 소각하는 경우, 건조한 날씨에 강한 바람이 불며 임야화재가 산불로 번지는 경우가 많아 지자체와 함께 이에 대한 주의당부에도 나선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