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외이사 이사회 의장과 선임사외이사제도 도입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롯데가 경영 투명성 강화와 사외이사 독립성 제고를 위해 사외이사 이사회 의장과 선임사외이사제도를 도입한다.
20일 롯데는 사내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관행을 깨고 롯데GRS와 대홍기획 사외이사를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키로 했다. 이사회의 독립성과 견제 및 균형의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 두게 계열사에 우선 도입한다.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 분리는 ESG경영 측면에서 이사회 독립성을 대표하는 핵심 지표 중 하나로 사외이사 의장도 이사회 소집과 진행을 주관할 수 있고 대표이사 경영활동 전만을 견제하고 감동할 수 있다. 롯데는 향후 사외이사 의장 제도를 상장사 전체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또 롯데는 롯데지주, 롯데웰푸드, 롯데쇼핑, 롯데케미칼, 롯데렌탈, 롯데칠성, 롯데하이마트, 롯데정밀화학, 롯데정보통신, LEM 등 10개 상장사에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키로 했다. 이 제도는 사내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을 경우, 사외이사를 대표하는 선임사외이사를 임명해 균형과 견제를 도모하는 제도다.
선임사외이사는 사외이사 전원으로 구성되는 사외이사회를 단독으로 소집할 수 있다. 경영진에 현안 보고 요구 및 의견을 제시하는 중재자 역할을 해 경영진을 견제하고 감독한다.
국내 금융권에서는 선임사외이사제도를 의무화하고 있지만 일반 기업에는 의무 사항이 아니다. 롯데는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상장사에 선제적으로 도입해 거버넌스 체제를 개편할 예정이며, 추후 비상장사에도 확대한다. 각 상장사의 선임사외이사는 올해 주주총회가 끝난 후 진행되는 이사회를 통해 선임한다.
롯데 관계자는 “거버넌스 체제 혁신을 위해 사외이사 의장 제도 및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했다”며, “해당 제도를 지속적으로 계열사에 확대 적용해, 롯데그룹의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고 이사회 중심의 책임경영을 정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포스코홀딩스, 글로벌 ESG 평가 우수 기업 선정
- [기획] 식음료 기업, 전기차 교체‧폐자원 새활용 등 ESG 경영 확대
- 카카오 CA협의체 개편…김범수·정신아 공동의장
- [기획] 4대 은행 조직개편 키워드는 ‘상생’·‘군살빼기’
- HD현대건설기계, 아프리카서 '건설장비' 60대 대규모 수주
- 소비자 취향 적극 반영, 매출·화제성 모두 잡다
- LG생활건강, 청년에게 고객가치 경험 방향성 듣는다
- 악뮤, 칠성사이다 모델로 발탁…CM송 작사‧작곡도
- 롯데웰푸드, 식물성 원료 100% 사용 디저트 브랜드 론칭
- 롯데하이마트, 오프라인 본원 경쟁력 강화 집중
- 롯데월드타워가 담보로 나왔다
- 롯데하이마트, 젊은 소가족 타깃 PB가전 히트
- ‘영업익 31% ↓’ 롯데지주, 글로벌 공략 박차…비핵심 자산 정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