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형 리튬 추출 기술에 핵심 전기투석막 WSK와 공동개발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포스코가 전량 수입에 의존했던 리튬 생산 핵심부품인 전기투석막 국산화에 성공했다. 포스코홀딩스와 국내강소기업 더블유스코프코리아가 지난 2021년 공동개발에 착수했고 내년 포스코홀딩스 리튬 상용화 공장에 적용한다.
14일 포스코홀딩스는 더블유스코프코리아(WSK)와 충북 청주시 소재 WSK 1공장에서 리튬 생산용 전기투석막 공동개발 및 국산화 협력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협약에 따라 포스코홀딩스 수산화리튬 공장의 주요 부품인 전기투석막 및 관련 장비의 국산화와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에 협력키로했다.
전기투석막은 포스코홀딩스의 고유 리튬 추출 기술에 적용되는 핵심부품이다. 국내에는 제조사가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해오다 이번 국산화에 성공한 것. 이에 따라 포스코홀딩스는 현재 건설중인 리튬 상용화 공장 핵심부품의 원가절감과 함께 안정적인 조달이 가능해졌다. WSK는 성장성이 유망한 전기투석막 사업 신규 진출 및 관련 매출 증대를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가 보유 리튬 추출 기술은 전기투석을 적용하는 공법이다. 특정 물질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막을 층층이 쌓은 스택에 전기를 걸고 리튬 용액을 흘려 순도가 높은 수산화리튬을 제조할 수 있다. 부산물 발생이 없고 부원료 회수가 가능하여 환경친화적이고 유지관리비가 낮은 장점이 있다고 포스코 홀딩스는 설명했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양사는 국내 최초의 리튬 생산용 전기투석막 공동개발 및 상용화 협력 사례를 바탕으로 이차전지소재 제조공정의 부산물 재활용에 적용할 부품 및 설비 개발에도 협력범위를 확대할 것”이라며 “포스코홀딩스는 이차전지소재사업에서 국내 소부장 강소기업들과 협업 범위를 확장하며 강건한 생태계 구축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