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어디서나 모두가 살기 좋은 지방시대 구현’
지역소멸 극복하는 지방정부 모델 ‘청사진’ 제시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14일 윤석열 정부의 국정 목표인 ‘대한민국 어디서나 모두가 살기 좋은 지방시대 구현’을 완성하기 위한 지역소멸 극복 모델 ‘경북형 6대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날 이 지사는 앞으로 청년이 살고 싶은 경북 시대 실현을 위해 대학 주도의 아이디어 산업 시대를 선도하고 지속 가능한 청년 정주 도시를 조성해 지역 가치를 공유하는 글로벌 개방사회로 변화를 이끌어 지역소멸을 극복하는 지방정부 모델의 청사진도 제시했다.
첫번째 프로젝트는 ‘지역소멸극복 지방시대로 대전환’으로 그간 지역혁신대학 시범사업(RISE), 글로컬 30 등 선정된 공모사업을 K-U시티를 통해 지역 현장에 실현하고 이를 발전시켜 대한민국의 선도모델인 경북형 기회발전특구로 완성할 계획이다.
‘아이디어 산업 주도 대학으로 대전환’에서는 경북형 특성화 중심대학을 추진해 1시군-1 대학-1 특성화(기업)와 연구・창업 중심의 특성화, 경북형 EU대학 모델, 지역 소외계층 전주기 교육프로그램 지원, 4차 산업 주도 창업 캠퍼스 조성 등 아이디어 창업 밸리를 육성한다.
‘글로벌 개방사회 대전환’으로 지역 가치를 공유하는 글로벌 개방사회로 변화를 경북이 주도하기 위해 입국부터 영주까지 촘촘한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 K-드림 프로젝트’는 지역소멸에 대응해 지역에 부족한 산업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특화비자, K-GKS 등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 1만 명 유치를 추진한다.
‘인구개념 대전환’으로는 정주 인구중심에서 생활인구 중심으로의 인구개념 패러다임 변화에 신속한 대응을 위해 경북만의 특화된 수용 태세 마련과 통합지원체계를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청년 중심 사회로 대전환’ 프로젝트는 기존 취약계층 위주・생애주기별 지원 등의 청년정책에서 이제는 경북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역이 주도하는 지방시대를 위해서는 지방정부에 권한을 줘야 그에 상응하는 능력도 발휘된다. 이를 위해 지방정부도 현장 중심의 플랫폼 정부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