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항공교통량 집계 결과…전년비 31%·국제선 70% ↑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거리두기' 해제로 인해 상반기 항공교통량이 코로나19 이전 84% 수준까지 근접했다.
1일 국토부는 상반기 항공교통량 집계 결과, 우리나라 하늘길을 이용한 항공기는 전년 대비 약 31% 증가한 하루 평균 1941대(상반기 총 35만 1000여 대)였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국제선은 월평균 약 5.2%씩 증가했으며, 국내선을 포함한 전체 교통량은 월평균 약 4.1%씩 상승해 지난해 월평균 증가 추이(1.6%)를 크게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반기 항공교통량은 2019년도 대비, 전체의 84% 수준을 기록했으며, 항공 수요 증가에 따라 4월을 기점으로 하루 평균 2000대를 넘어서며 항공교통량이 상당량 회복했다.
한-중 노선 항공교통 수요는 아직 더딘 가운데, 일본과 동남아 지역 중심의 신규 취항·증편 등에 따라 국제선이 전년 대비 70% 이상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전체 국제 교통량 중 약 46%가 수도권과 제주 남단을 잇는 동남아·남중국 방면을 진출입 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간 해외여행의 어려움으로 인해 몰렸던 국내 항공교통 수요는 국제 항공편의 증가로 전년 대비 약 10% 감소했음에도, 이는 2019년 국내 교통량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항별로는 국제선 회복에 따라 전년 대비 인천공항(63.7%↑)과 김해·대구공항의 교통량 증가 폭이 두드러졌으며, 제주·김포공항 등 국내선 위주의 대다수 공항은 항공교통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날 국토부 한 관계자는 "중국노선의 항공 수요가 본격적으로 회복되면 코로나 이전 교통량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항공교통량 변동 추이를 지속적으로 면밀히 모니터링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공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