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학교 교사부터 전문 암표기업까지…총 17개 업자 대상

국세청 현판 ⓒ시사포커스DB
국세청 현판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국세청은 단순한 질서 위반의 수준을 넘어 이득을 챙겨 온 암표업자들의 관행적인 탈루행위에 주목하고 이를 근절하기 위해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조사 대상은 주요 티켓 거래 플랫폼 상위 1% 판매자의 인당 연간 판매 건수인 280여 건을 크게 상회하는 거래량을 보인 전문 암표상들 중에서도 가장 탈루혐의가 짙은 공공기관 근무자·사립학교 교사 등이 포함한 총 17개 업자들이다. 이들은 수만 건 이상의 거래를 통해 최소 200여억 원이 넘는 암표를 유통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대상자들의 암표팔이 수법은 ▲온라인 플랫폼·중고거래 커뮤니티를 활용한 티켓 재판매 ▲암표업자가 티켓 구매 희망자를 대신해 예매하는 대리 티켓팅(소위 ‘댈티’) ▲불법 예매를 가능케 하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판매 ▲예약 대기 없이 즉시 예매가 가능한 인터넷 주소(직접 예약링크)를 판매 등이다.

조사대상자들은 수년에 걸쳐 4만 건 이상의 주요 입장권을 확보한 후 정가의 최대 30배 가량에 이르는 폭리를 취하며 암표를 판매했다. 일부는 중고거래 게시판을 통해 자신의 판매 내역이 드러나는 것을 회피하고자 대금을 개인 계좌로 수취한 후 ‘판매 완료’ 처리를 하지 않은 채 판매 게시물을 삭제하는 등 의도적인 수익 은닉 행태를 보였다.

대리 티켓팅업자는 전문 노하우를 갖춘 암표업계의 ‘프로 선수’로 일부는 조직적인 사업체로 발전하며 고수익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매크로 예매 티켓의 상업적 유통에 대한 단속을 피하면서 수익을 올리고자 매크로 프로그램을 티켓 예매희망자에게 직접 판매하며 불법 책임을 분산하려는 업자들이 나타났다.

국세청은 “이번 세무조사는 민생과 시장질서에 미치는 사안의 파급력과 시급성을 감안해 암표업자들의 수익 내역과 자금흐름 및 은닉재산 유무 등을 신속하고 철저히 검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어 “금융추적·금융정보분석원(FIU) 정보 등 가용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암표판매와 관련된 현금거래를 빠짐없이 확인하고 정당한 세금을 추징해 조세 정의를 바로 세우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