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전 생애주기 관리 ‘2025 항공기술 협력 주간’ 개최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 ⓒ육군-뉴시스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 ⓒ육군-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국토교통부는 오는 4일부터 6일까지 항공안전기술원과 국산 헬기 운영 기관(산림청·소방청 등) 및 제작사·12개 국적사 등과 함께 ‘2025 항공기술 협력 주간’을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는 항공기술 협력 주간은 항공기의 안전 확보를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인 ‘운영 중 안전성 유지’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항공기 제작국(수리온 헬기)으로 발돋움한 만큼 안전관리 역량 제고를 위한 다양한 행사를 진행한다.

오는 5일 제작사·항공안전기술원·운영기관 등과 ‘국산헬기(수리온) 안전관리 협의체 출범식’을 진행한다. 참여기관들은 국산 헬리콥터(수리온) 운영단계에서의 안전성 유지를 위해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운영 데이터 수집·분석 및 공유와 법·제도 개선 등 안전관리 전반에 대한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를 체결한다.

오는 21일까지 3주간 국가의 항공안전감독체계 핵심 요소인 감독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항공안전감독관 글로벌 교육을 한국항공아카데미(KAA)에서 진행한다.

국제민간항공기구 안전기금의 지원을 받아 유치한 이번 교육은 아·태 지역 국가(몽골·스리랑카·인도·바누아투·파키스탄)와 한국 항공안전감독관이 함께 참여한다.

항공기 수입·사용국 입장에서 항공기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4일에는 12개 국적사 및 항공안전기술원과 함께 간담회를 개최해 ‘항공기의 지속적인 안전관리 제고방안’을 발표·논의한다. 국적사 정비 최고책임자들과 함께 안전을 결의한다.

항공기 운영 중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항공안전기술원 내에 전담팀을 구성하고 외국에서 발행하는 안전개선 조치에 대한 분석 및 활용 강화·항공사의 안전개선조치 이행여부 실시간 점검 시스템 구축 및 현장 점검 강화 등을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항공기술 협력주간을 계기로 안전문화가 널리 퍼지고 수리온 헬리콥터 뿐만 아니라 향후 신기술이 적용된 UAM 항공기·제트엔진 등 국내개발 항공제품이 신뢰를 받는 기반이 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