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신문고·국민비서·통합보훈 등 주요 시스템 서비스 재개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행정안전부는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4차 회의를 개최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정보시스템 복구 상황과 복구 계획을 집중 점검했다고 31일 밝혔다.
정부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시스템을 최우선 순위로 둔 결과 이날 기준 1등급 시스템 40개(100.0%), 2등급 시스템 63개(92.6%) 총 631개 시스템(89.0%)을 복구했다.
지난 28일에는 ‘국민신문고(국민권익위원회)’과 ‘통합보훈(국가보훈부)’ 시스템이 복구돼 국민제안 및 보훈대상자 등록·심사 등 민원을 접수하고 처리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민원창구가 기능을 회복했다.
‘국민비서알림서비스(행정안전부)’와 ‘안전디딤돌(행정안전부)’도 복구돼 건강검진·세금납부 등 생활밀착형 행정정보와 지진·산불·화재 등 각종 재난상황 알림을 다시 받을 수 있게 됐다.
정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복구와 대구센터 민간 클라우드 이전에 속도를 내어 남은 복구작업을 조속히 완료하겠다는 방침이다.
대전센터의 복구대상 시스템은 총 693개 중 64개가 남은 상황으로 11월 3주차까지 모두 복구한다. 대구센터 민간 클라우드 이전 대상인 16개 시스템 중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등 2개 시스템은 이미 복구됐고 각 시스템의 백업데이터도 복원을 완료하고 대구센터로 이송했다.
중대본은 대전센터 복구를 위한 1차 예비비 1521억원을 확보해 대구센터 이전을 위한 2차 예비비 확보를 위해 재정당국과 긴밀히 협의한다.
윤호중 장관은 “국민생활과 밀접한 1등급 정보시스템 40개가 모두 복구돼 다행이라고 생각한다”며 “국민생활에 불편을 초래하는 대규모 장애가 반복되지 않도록 정부 정보시스템 인프라의 근본적인 재설계 방안도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