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트닉 장관 “반도체 관세도 이번 합의에 포함 안 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29일 경북 경주예술의전당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29일 경북 경주예술의전당에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혜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한미 무역 합의를 발표하면서 한국 정부 측의 설명과 일부 배치되는 내용을 공개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29일(미국 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의 두 번째 한미정상회담 결과를 소개하면서 “한국은 자국 시장을 100% 완전 개방하기로 동의했다”고 밝혔다. 해당 내용은 쌀·소고기를 포함한 농산물 시장에서 추가 개방을 막았다는 한국 정부의 설명과 차이가 나는 부분이다.

이뿐 아니라 러트닉 장관은 “이번 합의에 반도체 관세는 포함되지 않았다”고도 글을 올렸다. 하지만 앞서 한국 정부는 반도체 관세와 관련해 “미국과 협의 끝에 주된 경쟁국인 대만보다 불리하지 않은 수준의 관세를 적용받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한미 양국은 이번 협상 결과를 담은 공식 문서에 서명하기 전까지 세부 협상 내용을 둘러싸고 추가 협의 논의가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전날 경주에서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싸인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며 “조금만 기다려달라”고 말한 바 있다.

한편, 러트닉 장관은 한국의 대미 투자 총 3500억 달러(약 500조원)에 대한 사용 계획 방향을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투자 분야를 지시하고 승인할 것”이라며 “첫 투자 분야는 조선업으로, 미국 내 선박 건조에 최소 1500억달러가 약속됐다”고 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추진 중인 여러 프로젝트에 추가로 2천억 달러를 투입할 계획”이라며 “여기에 알래스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에너지 기반시설, 핵심광물, 첨단제조업, 인공지능(AI), 양자컴퓨터 분야가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