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통상협상 카드 검토에 강력 반발
“농민들을 ‘협상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

지난 10일 경북 청송군의회가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를 즉각 중단할 것을 정부에 촉구하고 있다.ⓒ청송군의회
지난 10일 경북 청송군의회가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를 즉각 중단할 것을 정부에 촉구하고 있다.ⓒ청송군의회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 청송군의회가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를 즉각 중단할 것을 정부에 촉구하는 강경한 입장을 표명했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농림축산식품부에 미국산 사과 수입을 통상 협상 카드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지시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따른 반발이다.

11일 청송군의회에 따르면 경북은 전국 사과 생산량의 62%를 차지하는 핵심 주산지로서, 청송, 영주, 안동 등지에서 약 1만 8000여 농가가 1만 9000ha에 달하는 면적에서 사과를 재배하고 있다. 총생산액은 전국 1조 3769억 원 중 60%에 해당하는 8247억 원에 달한다. 청송군의회는 미국산 사과 수입이 현실화될 경우, 경북 지역은 물론 국내 과수 산업 전반에 걸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청송군의회는 성명서를 통해 정부에 세 가지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첫째, 국내 농업 보호라는 기본적인 원칙을 훼손하는 사과 수입 검토를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둘째, 어떠한 농산물도 통상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음을 명확히 할 것을 촉구했다. 셋째, 농업과 농민을 통상협상의 희생양으로 삼지 않겠다는 정부의 책임 있는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청송군의회는 사과는 단순한 과일이 아닌 농민들의 땀과 노력이 담긴 생계의 기반이라며 특히쌀을 포함한 농업이 ‘더 이상 협상의 희생양’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심상휴 청송군의회 의장은 “정부는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를 즉각 중단하고, 책임 있는 입장을 신속히 밝혀야 한다”며 “최근 초대형 산불 피해, 고령화, 이상기후, 생산비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민들을 ‘협상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