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선·양식장·가공업체 등 해양수산 분야 큰 타격
민관합동 복구대책 협의회 구성해 지원 총력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강풍을 타고 영덕 어촌마을까지 번져 항구에 정박중이던 선박들이 전소됐다.ⓒ김성식 강구수협조합장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강풍을 타고 영덕 어촌마을까지 번져 항구에 정박중이던 선박들이 전소됐다.ⓒ김성식 강구수협조합장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강풍을 타고 영덕 어촌마을까지 번져 해양수산 분야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현재까지 집계된 피해액만 72억원에 달하며, 경북도는 신속한 복구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31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어선 16척과 레저선 3척 등 19척이 소실됐으며, 양식장 6개소에서는 강도다리와 은어 등 68만 마리의 양식어류가 피해를 입어 36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또한 수산물가공업체 4곳의 18개 건물이 불에 타 34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강구와 영덕북부 수협 소속 7개 마을에서는 조합원 가옥 78채와 어구 창고가 소실됐다. 9개 어가에서 건조 중이던 정치망 어망(1틀당 3억원 상당)과 24개 어가의 대게 자망 및 통발 그물도 불에 타 피해액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해양수산 기관과 어업인 단체는 긴밀한 협력을 통해 피해 상황에 대응하고 있다. 해경은 산불로 대피로가 차단돼 고립된 어민들을 함정으로 구조해 인명 피해를 방지했으며, 수협은 어업인 대피 지원과 식사 및 생필품 제공, 피해 집계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강풍을 타고 영덕 어촌마을까지 번져 항구에 정박중이던 선박들이 전소됐다.ⓒ김성식 강구수협조합장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강풍을 타고 영덕 어촌마을까지 번져 항구에 정박중이던 선박들이 전소됐다.ⓒ김성식 강구수협조합장

경북도는 영덕군과 함께 어업인들의 신속한 복구를 위해 수산 분야 국·도비 지원사업을 피해지역 어업인에게 우선 배정하고 자부담 비율을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특히 어구 소실 어가에 어구 구입비를 지원하고, 재난 시 어업인 안전을 위한 어항 피난시설 신설 사업도 계획하고 있다.

이번 산불을 계기로 경북도는 7개 해양수산 기관과 2개 어업인 단체가 참여하는 ‘민관합동 복구 대책 협의회’를 구성했다. 경북도와 영덕군, 포항해양수산청 등 유관기관들은 피해복구와 영덕 해안의 자연경관 회복을 위해 역할을 분담하고 예산 투입 및 봉사활동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 자원 감소와 경기침체로 인한 어가 경영 악화, 고령화로 인한 인력난 등 삼중고를 겪는 어려운 어촌에 산불 피해까지 겹쳐 어업인들의 고통이 더욱 클 것”이라며 “어촌지역의 빠른 회복을 위해 예산과 인력투입 외에도 제도개선 등 해양수산 행정력을 총동원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31일 오전 8시 30분 현재 경북도 산불 피해 대처 현황에 따르면 이번 초대형 산불로 인한 인명 피해는 26명(헬기추락 1명 포함)으로 집계됐으며, 주택 피해는 5개 시군에서 총 3617동에 달한다. 문화재 25개소와 농축업 분야에서도 농작물 1555ha, 시설하우스 290동, 축사 71동 등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했다.

현재 진화 작업에는 공무원, 진화대원, 소방, 군인 등 총 2469명의 인력과 헬기 39대를 포함한 325대의 장비가 투입되어 뒷불 감시 및 정리 작업이 진행 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