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림, 해외 판로 확대‧엔에스이엠, K-콘텐츠 글로벌 경쟁력 강화
60년 쌍방울은 트라이로 사명 변경, 패션과 뷰티 기업으로 전환
[시사포커스 / 강민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대표가 연루된 쌍방울 대북송금 사건 영향으로 쌍방울그룹이 그룹 체제를 완전히 해체하고 각사별 독자경영체제로 전환한다.
4일 쌍방울그룹에 따르면 광림 및 엔에스이엔엠 등 각 회사들은 최근 독자적으로 경쟁력을 키워나가기 위한 체제를 구축했다. 지난달 주력기업 쌍방울 매각 및 정리를 추진했고 각 사별로 독립된 의사결정기구를 통해 고객과 주주가치를 우선에 둔 책임경영을 펼친다고.
쌍방울 관계자는 “주력기업인 쌍방울의 최대 주주가 변경되면서 과거 정체성을 완전히 탈피하고 독자적인 행보를 이어갈 것을 대내외에 선언한 것”이라며 “각사들은 앞으로 제각기 살아갈 길을 찾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쌍방울 사명을 TRY로 변경한다. 지난달 25일 서울 중구 소재 쌍방울 사옥 구조물에서 그룹이라는 글자를 뗐다. 서울 용산구 소재 본사 사옥도 관련 명칭을 제거하는 등 동일 조치를 취했다고. 쌍방울은 패션과 뷰티를 아우르는 기업으로 도약을 선언했다.
광림은 기존 러시아 유압크레인 시장점유율 회복은 물론 글로벌 특장차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해외 판로 확대 및 신규 지역 개발에 주력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러·우 전쟁 종식 의지가 강한 가운데 현재는 우크라이나 재건협의회와 업무협약(MOU) 체결도 앞두고 있다고 쌍방울 관계자는 전했다.
엔에스이엔엠은 글로벌 콘텐츠 기획 및 제작을 통해 음악, 영화, 드라마, 광고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위한 비전을 선포했다. 혼합현실(XR) 및 뉴미디어 관련 신사업 개발을 통해 혁신적 콘텐츠를 기반으로 기업의 미래 성장 동력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관계사 7곳 모두 내실 성장은 물론 해외사업 확장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쌍방울 관계자는 “유통망 확대 및 전 세계의 다양한 소비자를 확보하기 위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신규 전략 국가를 계속 물색할 것”이라며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글로벌 시장 공략을 통해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