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경북 8개 시군·대구시 개통, 광역환승
경북과 대구 아우르는 통합 교통망 구축

오는 14일 개통을 앞두고 시험 운행 중인 ‘대경선’ 철도 차량. ⓒ경산시
오는 14일 개통을 앞두고 시험 운행 중인 ‘대경선’ 철도 차량. ⓒ경산시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과 대구 지역의 교통망 혁신을 이끌 대경(대구·경북) 선이 14일 본격 개통과 경북-대구 광역 환승이 동시에 시행돼 경북 8개 시군과 대구시를 아우르는 공동생활권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릴 전망이다.

9일 경북도와 코레일 등에 따르면 대경선은 8개 역(구미, 사곡, 북삼(2025년 말), 왜관, 서대구, 대구, 동대구, 경산) 61.85km로 광역 간 안정적인 통학·통근을 지원하기 위한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철도다.

철도 운행은 출·퇴근 시간 19분, 그 외 25분 간격으로 오전 5시부터 자정까지 편도 48∼52회(양방 100회) 운행하며, 차량은 2량 1 편성으로 총 18량을 보유해 한 번에 296명의 수송이 가능하다.

대경선은 구미~대구 간 30분, 구미~경산 간 50분대로 연결해 출퇴근 직장인, 통학생 등의 이동 편의성이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경선 개통과 함께 버스·도시철도·대경선 간 광역 환승이 확대 시행된다.

기존 대구·영천·경산의 3개 지자체 간 환승과 동시에 김천·구미·청도·고령·성주·칠곡의 6개 시군이 추가되면서 총 9개 지자체로 확대된다.

이번 확대로 경북과 대구 지역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교통망이 구축돼 대중교통 간의 연계 강화와 교통 편리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경선 개통과 광역환승 시행은 대중교통의 이동 편의성 확대 및 교통비 절감으로 도민들의 생활 향상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공동생활권이 실현됨에 따라 경북과 대구 지역 간의 연결성이 강화되고, 경북도민과 대구시민의 교류와 상호협력이 활발해질 전망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올해 말 대구경북에는 대경선과 함께 동해선, 중부내륙선, 중앙선 등 5개 철도 노선이 한꺼번에 개통돼 ‘철도 르네상스 시대’가 활짝 열릴 것이다”라고 전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교통 혁신 정책으로 도민의 이동 편의성이 극대화될 것”이라며 “경북·대구의 상생과 협력에도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