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거주 신혼부부 및 신생아 가구, 주요 공급 대상
[시사포커스 / 이청원 기자] 정부가 올해 안에 수도권 신축매입 임대주택 1만7천가구 이상을 추가로 매입한다.
14일 국토부는 수도권에 신축매입임대주택 1.7만호 이상을 연내 추가 매입하기 위해, 이날부터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에서 사업자 모집공고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추가 매입물량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신혼부부 및 신생아 가구를 주요 공급 대상으로 한다. 세부적으로 수도권에 100% 공급되며, 1만3600호(80%)는 신혼부부 주택(월세형), 3400호는 든든전세주택(전세형)에 배정한다.
신규 물량은 최소 6년 임대 후 분양전환이 가능한 '분양전환형 매입임대주택'으로 공급될 예정으로, 분양전환 가격은 입주 시 감정가와 분양 시 감정가의 산술평균 금액으로 결정할 예정이며 세부 입주기준은 별도 마련 중이다.
한편, 실수요자 선호도가 높은 주택이 분양전환될 수 있도록 역세권 등 '좋은 입지'에 아파트를 포함한 '중형평형' 위주로 매입할 예정이다.
특히, LH는 질적 측면에서도 약정체결 단계부터 준공 시까지 5번에 걸쳐 단계별 주택품질을 철저히 관리하고, '건물공사비 연동형 매입가격 방식' 등을 도입해 공사비 상승에도 품질 좋은 건설자재를 쓸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토부와 LH는 민간사업자가 신축매입임대주택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도록 세제혜택 확대, 자금지원 강화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우선, 민간법인이 신축매입임대로 주거용오피스텔 건설을 위해 멸실주택 취득 시 부과하던 중과세(12%)를 폐지하고, 앞으로는 기본세율(1~3%)을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민간 건설사업자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PF대출 보증 가입 시 보증한도를 총 사업비의 90%까지 상향해 1금융권 저리대출을 확대 지원한다.
같은날 국토부 한 관계자는 "빌라 등 非아파트 공급이 위축된 상황에서, 도심 내 우량주택이 신속히 지속 공급되도록 신축매입임대주택 사업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라며 "사업의 신속 추진을 위해 지자체 등 관련기관과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GH, 수원시 전세 피해 주택 관리 유지보수 실태조사
- 최민희 “과학기술·ICT 직접 챙길 것…오늘까지 법안 가져오라”
- 경주시, 외국인 계절근로자와 상생하는 선진 모델 구축
- 경북교육청, 79주년 광복절 맞아 ‘독도 메타버스’ 개통
- [이슈] CJ제일제당, 미국 플랫폼으로 회귀·쿠팡, 소구력 높은 제품 확보
- 산업부, 美 대선 대응…글로벌 상무관 네트워크 총력 가동
- 병무청, 특별재난지역 병역의무자…동원훈련 면제·입영연기 가능
- 이상민 장관, 전기차 화재 아파트 찾아…"안전대책 꼼꼼히 마련"
-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 한 자리에…'K-Display 2024' 개막
- KG 모빌리티 곽재선 회장, 튀르키예 방문…글로벌 현장 경영 박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