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기간산업, 미래성장산업으로 ‘농업 육성’
[대구경북본부 / 김영삼 기자] 경북도는 올해 본격적인 국가 농업정책을 선도하는 경북형 지방시대를 열어가기 위해 농업대전환에 돌입한다.
7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는 농축산유통국 소관 사업에 1조 481억 원(일반회계 9.4%)을 투입해 국민의 먹거리를 책임지는 국가 기간산업이자 미래성장산업으로 농업을 육성한다.
농업대전환 세부 항목으로 △농가 소득‧·경영 안전망 구축 △농식품·수출 △스마트·친환경농업 육성 △원예·특작시설 현대화 △농촌개발·기반정비 △축산·동물방역 등 6개 분야에 예산을 집중 투입한다.
먼저, 농가 소득·경영 안전망 구축 및 농업재해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농어민수당(553억), 청년농업인영농정착지원(104억), 농작물 재해보험료(180억), 농업인 안전보험료(10억) 등 총 1042억 원을 지원한다.
둘째, 농식품 생산·가공·유통·수출을 위해 농산물 생산유통기반구축(32억), 농산물 제조가공(39억), 농산물 산지유통센터 설치(99억), 농식품 해외시장개척 및 기술지원(13억), 수출 농식품 안정성 제고(15억) 등 총 1043억 원을 투입한다.
셋째, 스마트·친환경 농업 육성을 위해 유기농산업복합서비스 지원단지 조성(37억), 곤충양잠산업 거점단지 조성(71억), 스마트팜 혁신밸리 기존농업인용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63억), 노지스마트농업시범사업(74억) 등 총 499억 원을 투입한다.
넷째, 원예·특작시설 현대화를 위해 과수 고품질 시설현대화사업(128억), 과실전문생산단지 기반조성사업(204억), 시설원예 신재생에너지시설 보급(21억), 특용작물 산업화 지원센터(18억) 등 총 567억 원을 지원한다.
다섯째, 농촌개발·기반정비를 위해 농촌중심지 활성화(450억), 기초생활거점 조성(440억), 신활력플러스사업(140억), 농촌공간정비사업(146억), 농업기반정비(97억), 배수개선(335억) 등 총 1910억 원을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축산기반 조성·동물방역을 위해 축산분야 ICT융복합 확산(12억), 양봉 경쟁력 강화(10억), 가축방역약품구입(47억), 방역인프라 설치(17억), 공동방제단 운영(32억) 등 총 995억 원을 지원한다.
그 외에도 환경보전, 농촌유지, 식품안전 등 농업‧농촌의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공익증진 직불금도 4191억 원을 지원하는 등 편성한 예산으로 당면한 농업‧농촌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경북농업의 미래를 촘촘히 준비할 계획이다.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농업인의 안전한 영농활동을 보장하고, 농업의 첨단화·규모화·기술혁신이라는 3가지 가치를 중심으로 2024년을 농가소득이 증대되는 농업대전환 확산의 해로 만들겠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이철우 경북도지사, 전국 광역지자체장 ‘직무수행 62% 긍정평가 1위’
- 경북경찰, 지난해 112 신고 접수··· ‘100만’ 건 넘어
- 경북도, 숲을 활용한 ‘행복한 산림복지’ 구현
- 경북도, 2025년도 ‘산림소득분야 지원사업’ 접수
- 이철우 경북도지사, 농업대전환 첫 결실··· ‘3배 소득배당’
- 경북 여성단체협의회, 신년교례회 열고 ‘새해 힘찬 출발’ 다짐
- 경북도, 도로 ‘SOC 사업’ 추진 탄력···국비 1조 4799억 확보
- 경북도, 농업대전환 신규사업 ‘농기계 종합보험료’ 지원
- 경북기업 기술력 전 세계 입증…‘CES 2024’에서 ‘혁신상 7개’ 수상
- 경북도, ‘1인 사업자 사회보험료 지원’ 업무협약 체결


